분류 전체보기(1324)
-
부자와 가난한 사람의 잠재의식 차이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잠재의식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사람들은 ‘그래 봐야 금수저가 아니면 가망이 없고, 평생을 일만하고 자수성가를 하려고 아둥바둥 하거나, 그야말로 운빨로 로또가 당첨되지 않고서야 사람이 뭔 차이가 생기겠어’하고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잠재의식을 바꾸는 것 만으로 정말로 부자가 될 수 있다. 요번에는 이런 잠재의식을 바꿔가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서 생각해 보겠다. *잠재의식을 바꾸면 돈의 움직임도 변한다. 잠재의식을 바꾸면 돈이 꼬인다는 것은 믿기 힘든 이야기일지 모른다. 하지만 사실이다. 부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은 잠재의식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그렇기 때문에 부자들의 잠재의식을 자신에게 적용 가능하게 되면 그만큼 부자가 될 가능성은 올라간다. 잠재의식이 변화할수록 자연히 행동도 바뀌게 ..
2024.04.14 -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은 뭐가 다를까?
가장 큰 차이는 발화를 일으켜 불을 붙이느냐 아니면 저절로 불이 붙느냐이다. 디젤 엔진은 경유를 쓰고, 가솔린 엔진은 휘발유를 연료로 하고 있다. 가솔린 엔진을 쓰는 자동차에 경유를 넣으면 안되고 반대로 디젤 엔진에 휘발유를 넣어도 문제가 생긴다. 승용차량에도 디젤 엔진이 늘어나면서 이렇게 연료를 잘못 넣어 문제가 생기는 사고가 종종 일어나곤 한다. 그러면 가솔린과 디젤 엔진은 뭐가 다른 것일까? 크고 작은 차이는 수도 없지만 결론적으로는 사용되는 연료에 맞추어 설계부터가 다르게 만들어진 물건이라는 것이다. 너무 당연한 말이다. 그리고 기술적으로 가솔린 엔진은 분무되는 가솔린과 공기를 섞은 압축된 혼합기에 점화플러그로 불꽃을 튀겨 착화를 시킴으로 연소를 시키는데 반해, 디젤 엔진은 압축을 함으로써 고온으..
2024.04.13 -
엔진브레이크는 뭐지?
자동차관련 기사를 보다 보면 엔진브레이크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파킹브레이크는 차가 뒤로 밀리지 않게 주차 시 걸어둔 적이 있고, 그냥 브레이크는 매일 쓰는 거니까 알겠는데… 엔진 브레이크? 그건 어디 있는 거지? 하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까? 어떤 사람은 옵션인줄 알았다는 사람도 있었다. 웃긴 이야기이긴 해도 차를 잘 모르는 사람에겐 어쩌면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스타벅스에서 처음 커피를 시키는게 더 어려울 수도 있으니까 말이다. 그럼 엔진브레이크는 뭘까? 차근차근 알아보자. 우선 엔진브레이크는 일반적인 엔진을 사용하는 차라면 기본적으로 모두 가능하다. 엔진 브레이크를 거는 방법은 수동 차라면 뉴트럴(N) 이외의 기어를 넣은 체 주행 중 악셀에서 발을 떼면 되고, 오토 차량이라면 D나 S에 두..
2024.04.12 -
일반 휘발유 차에 고급유를 넣거나 그 반대의 경우는 엔진이 고장날까?
수입차가 늘면서 고급유를 넣어야하는 차량들을 많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휘발유 차에 경유를 넣거나, 경유 차에 휘발유를 넣으면 문제가 생긴다는 사실은 대부분 알고 있다. 그리고 경차(?)라고 해서 무턱대고 경유를 넣어도 문제가 되겠다. 하지만 과연 같은 가솔린 엔진이라도 일반 휘발유 사양과 고급 휘발유 사양의 차량에 각기 다른 종류의 휘발유를 급유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일반적으로 고급유가 리터 당 가격이 더 비싸다. 기름값을 절약하려고 일부러 일반유를 선택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지만, 같은 휘발유라도 두 종류로 나누어 논 데에는 뭔가 이유가 있을 것이 틀림없다. 자동차를 살 때 보면 엄연히 옥탄가 몇의 고급유 사양이라든가 일반 휘발유 사양이라는 정보가 각 차마다 제공된다. 만약 일반유 사양의 차에 고..
2024.04.11 -
다들 다는 도어 바이저의 장단점, 진짜 필요한가?
많은 자동차들에서 문의 바로 윗쪽에 길죽하게 붙어있는 도어 바이저를 볼 수 있다. 이것은 차를 살 때 옵션으로 또는 나중에 달게 된 것들이다. 선바이저라고도 불린다. 예전 차들에 지금처럼 에어컨이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 차 안에서 담배를 피거나, 비 내리는 날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고 싶을 때 편리하게 쓸 수 있는 장비로 다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오늘 날에는 에어컨이 달려있지 않은 차량은 거의 없고 그 기능 또한 다양하다. 실내의 환기도 옛날 차에 비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시킬 수 있게 되었다. 그럼에도 왜 현재까지 이 도어 바이저가 달린 차들이 많은 것일까? 요번에는 이 도어 바이저가 과연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겠다. *흡연자들에겐 좋을 수도 예를 들어 비오는 날 가다가 창문을 살짝 ..
2024.04.10 -
엔진 자동스톱 기능에 예상치 못한 단점이 있다고?
(2015년) 최근 발매되는 중, 소형 차들에는 연비성능을 중시해서 대부분 정차시 자동으로 엔진회전을 멈춰주는 엔진스톱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 자동 엔진스톱기능에도 장점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단점도 존재한다고 한다. 그래서 이 자동스톱기능을 싫어하는 드라이버도 상당 수 존재하는 모양이다. 요번에는 자동 엔진스톱 기능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자동 엔진스톱 기능이란? 일명 스톱 앤 고로 ISG라고도 한다. 엔진스톱기능은 정지신호 등 자동차가 완전히 멈추었을 때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엔진이 멈추는 기능을 말한다. 이 기능이 켜져있을 경우, 대부분의 차량은 정지했을 때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만 있으면 엔진이 정지하게 된다. 말인 즉, 짧게 짧게 정차해 있는 동안의 연료소모를 ..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