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978)
-
임중불매신 (林中不賣薪)
임중불매신 (林中不賣薪) 1. 고사성어의 기본 의미‘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은 직역하면 “숲 속에서는 땔나무를 팔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즉, 숲속에는 이미 나무가 풍부하므로 땔감을 사려는 사람도, 팔려는 사람도 없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발전하여, 물건이나 자원은 그것이 필요한 곳에서 가치를 발휘한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물질적 재화뿐 아니라 지식, 능력, 기술, 재능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깊은 가르침을 줍니다.2. 고사성어의 유래임중불매신은 중국 고전의 경제적 이치와 관련된 구절에서 비롯된 성어입니다. 땔나무는 생활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나무가 가득한 숲속에서는 누구나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치’가 사라집니다. 반대로, 나무가 귀한 도시나 사막과 같은 지역에서는 큰 값을..
00:00:41 -
임전무퇴 (臨戰無退)
임전무퇴 (臨戰無退) 1) 고사성어 풀이**임전무퇴(臨戰無退)**는 ‘전투에 임하여(臨戰) 물러섬이 없다(無退)’는 뜻으로, 어떠한 난관 앞에서도 굳건한 의지로 물러서지 않음을 가리킵니다. 본래 군사적 맥락의 결의(決意)를 나타내는 구호였으나, 오늘날에는 경쟁·시험·프로젝트 등 목표 달성을 위한 불퇴전의 정신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널리 사용됩니다.2) 한자 풀이臨(임): 임하다, 마주하다. 어떤 상황 앞에 서다.戰(전): 싸움, 전투.無(무): 없다, 결여되다.退(퇴): 물러나다, 물러섬.직역하면 “싸움을 마주하여 물러남이 없다”는 뜻으로, 물러섬 없는 결단을 강조하는 짧고 강한 문구입니다.3) 유래와 문헌적 배경‘임전무퇴’는 특정 한 권의 고전에서만 유래했다기보다, 동아시아 병가(兵家) 전통에서 일관..
2025.09.14 -
입이출구 (入耳出口)
입이출구 (入耳出口) 1. 고사성어의 기본 의미입이출구(入耳出口)는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귀로 들어가서 입으로 나온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어떤 말을 들으면 곧바로 남에게 옮겨버리는 사람의 태도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따라서 이 성어는 비밀을 지키지 못하고, 들은 것을 바로 퍼뜨리는 경솔한 행동을 경계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어원과 유래입이출구라는 표현은 고대 중국에서 비롯되었으며, 말과 행동의 신중함을 강조하는 유교적 맥락 속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특히 사람과의 관계에서 신뢰는 매우 중요한 가치인데, 귀로 들은 이야기를 깊이 생각하지 않고 곧장 입으로 내뱉는 행동은 신뢰를 저버리는 행위로 여겨졌습니다.옛 문헌에서는 입이출구라는 말이 “입이 무겁지 못한 사람”을 풍자하거나 비판하는데 사용..
2025.09.13 -
입신양명 (立身揚名)
입신양명 (立身揚名) 1) 고사성어 풀이**입신양명(立身揚名)**은 ‘몸을 세우고(立身) 이름을 드날린다(揚名)’는 뜻으로, 출세하여 이름을 세상에 떨침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는 개인의 성취를 통해 가문과 부모를 영화롭게 함까지 포함하는 가치관을 담고 있습니다.2) 한자 풀이와 어감立(설 립/입): 서다, 세우다 → 자립·자기 확립身(몸 신): 몸, 자신 → 인격·자아揚(날릴 양): 들어 올리다, 드날리다 → 명성을 퍼뜨림名(이름 명): 이름, 평판 → 사회적 평판·명성합쳐서 자신을 확고히 세운 뒤, 그 공적·덕행으로 이름을 널리 알림이라는 의미가 됩니다.3) 유래 — 『효경(孝經)』의 문구입신양명의 사상적 배경은 『효경』의 다음 구절에 잘 드러납니다.「立身行道,揚名於後世,以顯父母,孝之終也」몸을 세우고..
2025.09.12 -
일일여삼추 (一日如三秋) - 하루가 삼 년처럼 길게 느껴지는 간절한 기다림
🧩 1.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 개요**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하루가 마치 삼 년 같다”**는 뜻입니다. 이는 기다림이나 그리움이 극에 달할 때 시간의 흐름이 매우 지루하게 느껴지는 심리 상태를 묘사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일일삼추(一日三秋)’와 거의 같은 맥락에서 쓰이며, 특히 문학과 시가에서 애절한 표현으로 자주 등장합니다.한자 풀이:一 (하나 일): 하나, 하루日 (날 일): 날, 하루如 (같을 여): ~처럼三 (셋 삼): 숫자 삼秋 (가을 추): 가을📌 핵심 의미:사랑, 그리움, 또는 간절한 바람 때문에 하루가 무척이나 지루하게 느껴지는 감정 상태.📖 2. 유래 및 문헌적 배경📜 『시경(詩經)』에서 비롯된 표현‘일일여삼추’는 고대 중국의 시집인 『시경(詩經)』..
2025.09.11 -
일목요연 (一目瞭然) - 한눈에 명확히 보이다
🧩 1. 일목요연(一目瞭然) 개요**일목요연(一目瞭然)**은 "한 번 보면 똑똑히 드러난다"는 의미로, 무언가의 구조, 내용, 형세, 의미 등이 너무나 명확하여 단 한 번의 시선으로도 쉽게 이해되고 파악될 수 있을 때 사용하는 고사성어입니다.한자 구성:一 (한 일): 하나, 첫 번째目 (눈 목): 눈, 시각瞭 (밝을 요): 분명하다, 명확하다然 (그럴 연): 그렇다, 상태를 나타냄📌 핵심 의미:한눈에 확실하게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명확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간결함, 투명함, 논리성, 정돈됨 등을 상징합니다.📖 2. 유래와 배경🏯 고전 문헌 속 표현‘일목요연’이라는 표현은 고전 한문 문장이나 사서(史書), 문집 등에서 문장의 구조가 명확하거나 사물의 형상이 뚜렷한 상황을 묘사하는 말로 자주 등장하..
2025.09.10 -
일구월심 (日久月深) - 시간이 흐를수록 깊어지는 감정과 관계
🧩 1. 일구월심(日久月深) 개요**일구월심(日久月深)**은 "날이 오래고, 달이 깊어진다"는 뜻의 고사성어로, 세월이 지나면서 감정이나 상황이 점점 더 깊어지는 현상을 표현합니다. 이 표현은 주로 사랑, 우정, 정성, 혹은 그리움 같은 감정의 축적에 사용되며,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뿐만 아니라, 마음속의 의지나 신념이 깊어지는 과정에도 적용됩니다.한자 구성:日 (날 일): 하루, 해久 (오랠 구): 오래되다, 긴 시간月 (달 월): 달, 월(月)深 (깊을 심): 깊다, 심화되다📌 핵심 의미: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깊어지고 무르익는 마음이나 관계, 감정의 농도를 뜻합니다.📖 2. 유래와 배경📜 유래의 맥락‘일구월심’은 특별히 고전 문헌에서 유래한 고사라기보다는, 사자성어의 조어 원칙에 따라 형..
2025.09.09 -
일각천금 (一刻千金) - 짧은 순간도 천금처럼 귀중하다
🧩 1. 일각천금(一刻千金) 개요**일각천금(一刻千金)**은 "아주 짧은 시간조차 천금처럼 귀하다"는 뜻을 담고 있는 고사성어입니다. 시간의 소중함을 강조하며, 특히 기회는 짧고, 그 짧은 순간을 제대로 활용해야 한다는 교훈을 전합니다.한자 구성:一 (한 일): 하나, 짧은 시간刻 (새길 각): 15분 정도의 시간 단위千 (일천 천): 천金 (쇠 금): 금, 돈, 귀중한 것📌 핵심 의미:아주 짧은 시간(일각)이 천금의 가치만큼이나 귀하다는 뜻으로, 시간의 소중함과 순간의 가치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2. 유래와 고전 속 등장📜 『한시외전』에서의 유래‘일각천금’은 중국 고전 『한시외전(韓詩外傳)』에 등장하는 말로, 원래는 사랑하는 이와 함께 보내는 짧은 시간이 너무도 귀하다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2025.09.08 -
인자무적 (仁者無敵) -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 1. 인자무적(仁者無敵) 개요**인자무적(仁者無敵)**은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입니다. '인(仁)'이란 인간의 본성 중 가장 핵심적인 도덕적 덕목으로, 사람을 사랑하고 이해하며 품는 마음을 의미합니다. 이 성어는 단순한 무력의 우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인격과 인자한 행실로 주변 사람들의 존경과 신뢰를 얻은 자는 대적할 적이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한자 구성:仁 (어진 인): 어질고 너그러운 마음者 (사람 자): 그런 사람無 (없을 무): 없다敵 (대적할 적): 적, 맞설 자즉, “진정한 어짐을 실천하는 사람은 누구와도 싸우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누구에게도 적대감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2. 유래와 철학적 배경📜 『맹자(孟子)』에서의 유래맹자..
2025.09.07 -
인생여조로 (人生如朝露) - 인생은 아침 이슬처럼 짧고 덧없다
🧩 1. 인생여조로(人生如朝露) 개요**인생여조로(人生如朝露)**는 ‘인생은 아침 이슬과 같다’는 의미로, 인생의 덧없고 짧은 본질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 해가 뜨면 금세 사라지는 아침 이슬처럼, 인간의 삶 또한 찰나와 같다는 무상(無常)의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한자 구성:人 (사람 인)生 (날 생)如 (같을 여)朝 (아침 조)露 (이슬 로)즉, "사람의 삶은 아침의 이슬과 같다"는 뜻으로, 동아시아 철학과 문학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비유 표현입니다. 특히 불교와 도가(道家)의 인생관, 그리고 고대 시문(詩文) 속에서 자주 등장합니다.📖 2. 유래와 문헌적 배경🪷 『초사(楚辭)』 - 굴원(屈原)의 비애"인생여조로"의 가장 오래된 출처는 전국시대 초나라 시인 굴원의 작품 『초사』 중 ..
2025.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