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772)
-
자동차 에어컨 효율적으로 쓰기
자동차를 타서 냉방을 틀면 연비가 나빠진다는 말을 종종 듣곤 한다. 하지만 찜통 같은 더위에 냉방을 안 했다가는 거의 사망이다. 누가 뭐래도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냉방을 빼놓을 순 없을 것이다. 혹자는 놀러가기 위해 차를 타는 것인지 차를 타는 것이 목적인지 알 수 없을 때도 있다. 요번 여름에도 혹자는 자가용을 타고 바닷가에 놀러 갔다가 내려서 땀이 흐르기 시작하자 ‘야 차로 다시 가자’라고 하며 드라이브 만을 즐긴 이도 있다. 하지만 연비는 곧 경제적 측면과 연관이 되므로 할 수 있다면 에어컨 효율을 높이고도 싶은 것은 당연하다. 그러니 요번에는 연비 향상을 위한 에어컨 사용법을 생각해 보겠다. *효율적 냉방법 -설정 온도는 낮게 설정한다. 가정에서 쓰는 실내용 에어컨은 설정온도를 낮게 ..
2024.02.10 -
개가 이불에 파고들려는 이유
사람은 잠을 잘 때 이불을 덮고 잔다. 그런데 개를 키우다 보면 슬그머니 그 속으로 파고 들어 올 때가 있다. 왜 개들은 주인이 잠이 든 이불 속으로 들어 갈려고 하는 것일까? 그 이유를 생각해 보자. *추워서 만약 추운 계절에만 개가 이불 속으로 파고든다면 자신의 체온을 올리기 위해 하는 행동일 가능성이 크다. 개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추울 때는 따뜻한 곳이, 더울 때는 시원한 곳에서 더 잠이 잘 온다. 그래서 주인이 있는 이불이라면 분명 따뜻할 것이라는 판단으로 끼여들게 된다. 그리고 평소 주인의 체온도 알고 있기에 이불이 없더라도 추위가 심해지면 옆에 살을 붙이고 딱 붙어있는 경우도 생긴다. *주인의 체취가 나는 곳이니까 개는 대부분 자신의 주인을 세상에서 가장 좋아한다. 그렇기 때문에 주인의 소리가..
2024.02.10 -
(ㅇㅇ) 왜 사람은 소유하고 물건이 많을 수록 행복하지 못할까
많이 소유할수록 행복은 멀어진다. 자신의 소유가 많으면 사람은 행복해 질것이라고 착각을 하곤 한다. 새로운 무언가를 사고, 갖고 싶던 것을 손에 넣으면 잠시는 행복하고 기분전환이 된다. 하지만 그 상태가 얼마나 가는지 생각해 보라. 요번에는 사람의 욕심으로 행복을 찾을 수 없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소유를 하면 할수록 걱정은 늘어난다. 소유가 많아질수록 스스로 걱정을 늘리는 꼴이 된다. 물건에 흠이 날까, 고장이 나지는 않을까, 누가 훔쳐가지는 않을까, 경계하고 조심을 하게 된다. 소유를 하기 이전에는 그것을 가지면 소원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고르는 재미와 선택의 고민에 빠져 시간가는 줄 모르고 신이나 있다가도 막상 그것을 손에 넣으면 그 두근거림은 쏜살같이 사라진다. 남겨진 것은 그것을 ..
2024.02.10 -
자동차 앞유리에 성에가 끼었을 때 뜨거운 물을 부으면 안되는 치명적 이유
겨울이 다가오면서 기온이 떨어지면 새벽 무렵부터 자동차 앞유리에 두텁게 성에가 끼곤 한다. 아침 출근을 위해 내려와 보니 성에가 심해서 짜증이 났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이럴 때 혹자는 얼음을 녹이는 데는 펄펄 끓는 물이 최고지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실은 자동차에는 큰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는 행동이라 할 수 있다. 자동차의 앞유리는 두 장의 재질이 다른 유리가 특수한 필름으로 접합된 복잡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것은 사고가 났을 때 앞유리가 파손되면서 유리 파편이 상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그 구조상 끓는 물을 부으면 자칫하면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유리소재는 열을 가하면 조금이나마 팽창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알고 있을 것이다. 앞유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 장의 유..
2024.02.09 -
개가 인간의 감정을 감지하는 방법
개를 기르다 보면 이놈이 내 마음을 읽은 듯이 행동하는 순간이 있다. 이처럼 개들은 인간의 감정을 이해하고 있다. 그러면 개들은 어떤 방법으로 주인의 감정을 캐치하고 있는 것일까? *얼굴 표정을 읽는다. – 시각 개들은 항시 주인의 얼굴을 살피며 감정을 파악하려 한다. 타블렛스크린에 사람의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 사진을 나오게 해 놓고, 각각의 얼굴을 24마리의 개들에게 선택하게 하는 실험이 호주에서 행해졌다. 그리고 그 결과 개들은 사람의 웃는 얼굴과 화난 얼굴을 정확하게 구별해서 선택할 수 있었다고 한다. 또한, 웃는 얼굴을 선택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화난 얼굴을 선택하는데 걸린 시간보다도 짧았다고 한다. 다시 말하면 개는 사람의 얼굴 표정을 인식함은 물론 인간의 웃는 얼굴을 선호한다는 과학적 증거인 ..
2024.02.09 -
DHA를 많이 먹으면 머리가 좋아진다는 것은 상술에 불과하다?
참치나 꽁치 등 등푸른 생선의 지방에 풍부히 함유되어 있다고 하는 DHA는 뇌에 좋은 성분이라 흔히 알려져 있다. TV광고에서 참치캔과 각종 유제품, 어린이 식품, 제약 류에서 우리 아이를 똑똑하게 만들어 준다고 하는 바로 그것이다. 다랑어의 눈알에 DHA가 많다고 하여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부모가 고가의 눈알을 구매했다는 해외의 뉴스를 본 적도 있다. 과연 광고에서 말하는 것처럼 DHA는 우리의 뇌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오늘은 그런 의문이 들었다. 이론이나 동물실험으로만 보면 DHA가 뇌에 좋은 영향을 끼칠 가능성은 높아 보였다. 하지만 결론을 말하면 실제로 확인할 수 있을 만한 결과는 없다는 것이다. DHA는 실은 인간의 뇌에도 다량으로 존재하는 물질이다. 신경세포 간을 연결하는 시넵스의 세포..
2024.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