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58)
-
단시간에 활력을 내게 하는 음식들
*바나나 바나나는 양질의 탄수화물과 칼륨 등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단시간에 에너지를 만들기 용이하다. 칼륨은 수분을 보충시켜주는데 도움이 되며 천연당질과 탄수화물은 세포를 활성화 시킨다. 식물성 화학물질이 근육의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고구마 탄수화물은 조직으로 분해되어 단시간에 몸 전체의 연료원으로 변환된다. 설탕이나 밀가루가 아니라 곡물성분으로 식이섬유가 풍부한 탄수화물을 고르는 것이 좋다. 고 에너지의 복합 탄수화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고구마는 식물섬유가 풍부하기 때문에 소화에 시간이 걸리므로 에너지를 천천히 안정적으로 방출시키게 해 준다. 또한 오트밀, 파인애플, 땅콩과 같이 대사를 높여주는 망간까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그래서 피로회복에는 고구마가 매우 효과적이다. *아보카도 힘..
2024.02.08 -
번개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눈이 올 때와 비가 올 때 번개의 빈도가 다를까?
계절에 따라 천둥 번개가 치는 빈도에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여름철에는 천둥 번개가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여름철은 대기 중 상승 기류와 대류, 습도 등이 증가하여 대기의 불안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번개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또한, 여름철은 일반적으로 낮에 높은 기온과 습도로 인해 대기 중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번개 활동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있습니다. 겨울철은 대기가 안정되고 대류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번개 활동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다른 기후 조건과 지리적 특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천둥 번개의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지역에서는 계절에 상관없이 번개 활동이 일정할 수 있습니다. *..
2024.02.08 -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겉핥기
1. 특수상대성이론(Special Theory of Relativity) 1.1 상대성 원리와 무궁성 특수상대성이론은 1905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 의해 발표된 이론으로, 물리적 법칙은 모든 관측자에 대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관측자에 의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된다는 상대성 원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이론은 시공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과 시간을 하나의 연속적인 개념으로 다룹니다. 이에 따라 물체의 운동은 시공간 내에서의 움직임으로 설명됩니다. 또한, 특수상대성이론은 무궁성의 원리를 제시하여 모든 관측자에게 같은 물리 법칙이 적용되며, 어떤 상대적인 속도로 움직이든 물리적인 결과는 같아야 한다는 원리를 제시합니다. 1.2 광속의 상대성 특수상대성이론은 광속이 모든 관측자에게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가정..
2024.02.07 -
다양한 종류의 식용 기름
사람이 먹는 식용 기름에는 동물성 기름과 식물성 기름이 대표적입니다. 식물성 기름은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종류는 다른 식물로부터 추출되어 다양한 영양소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요번에는 주요한 식물성 기름과 그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기름의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기름은 다른 특성과 영양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식물 기름: 올리브 오일: 특징: 건강한 단일 불포화 지방산인 오메가-9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 E를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을 강화하고 심혈관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사용 용도: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샐러드 드레싱이나 은근한 요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코코넛 오일: 특징: 중단 사슬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 소..
2024.02.03 -
날씨가 추워지면 소변이 더 자주마려워지는 이유
추운 날씨에 소변이 자주 마려워지는 현상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 체온 조절 메커니즘: 추운 환경에서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액을 주로 핵심 장기로 보내고, 이로 인해 신장에 도달하는 혈액량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는 소변의 생성량이 증가하여 소변을 자주 배출하게 될 수 있습니다. 혈액순환과 혈압: 추운 날씨에는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이 상승합니다. 이는 신장에서의 혈압도 영향을 받아 소변 생성량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체온 조절을 위한 대사량 증가: 추운 날씨에는 우리 몸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됩니다. 이는 대사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대사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더 많은 소변을 생성할 수..
2024.02.03 -
저지방 우유와 보통 우유는 뭐가 다를까?
마트에 가보면 우유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저지방 우유, 성분 조정 우유, 성분 무조정 우유 등입니다. 모두 우유이지만 가격도 다르고 맛도 다릅니다. 그러면 과연 영양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우선 성분 조정과 무조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성분 무조정 우유는 말 그대로 성분을 조정하지 않은 순수한 우유를 가리킵니다. 이것이 보통의 가장 흔한 우유입니다. 그러면 성분 조정 우유는 무엇일까요? 성분 조정 우유는 생우유에서 유지방분 등을 일부 제거하고 성분을 약간 바꾼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유지방분은 우유의 고소함이나 맛과 관련이 되는 것입니다. 분리된 유지방분은 모아서 우리가 사용하는 버터나 치즈 등의 유류 가공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그래서 성분 조정 우유를..
2024.01.17 -
우주를 관찰하는 단위들
천문학에서 이용되는 단위에는 천문단위(AU, astronomical unit), 광년(ly, light-year), 파섹(pc, parsec) 이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천체는 매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우리가 흔히 쓰는 킬로미터로는 표현의 단위가 너무도 작으며 오히려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센티미터 또는 미터를 마이크로미터로 변환해서 생각하는 것처럼 쓸데 없는 일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 천문학에서는 우주의 스케일에 부합되도록 천문학 독자의 단위를 생각해 내게 되었습니다. 1. 천문단위 태양과 지구의 평균거리인 약 1억 5000만 킬로미터를 1 천문단위라고 합니다. 1 천문단위는 1AU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토성까지의 거리는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의 9.5배에 달합..
2024.01.13 -
자동차 배기량에서 말하는 cc는 무슨 의미일까?
자동차를 고를 때 자주 접하게 되는 것이 배기량이라는 단위입니다. 보통 cc라고 표기가 되어 있곤 하는데 간혹 리터(L)로 표기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이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은 듯 합니다. 요번에는 이 배기량(cc)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배기량은, 자동차에 탑재된 엔진의 실린더에 들어가게 되는 공기의 양을 말합니다. 그리고 그 단위를 cc로 표기하는 것입니다. 즉, 배기량이 1500cc라면 1500cc만큼의 공기를 투입해서 동력을 만들어 낸다는 의미가 됩니다. 자동차의 엔진은 내연기관으로 3기통, 4기통, 6기통, 8기통, 10기통, 12기통 등 많은 종류가 있고, 앞에 붙은 숫자는 실린더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이것이 많을수록 보통은 더 많은 ..
2024.01.11 -
인생의 골칫거리 욕망
욕망은 무언가를 갈구하는 마음을 말합니다. 돈을 원하고, 맛있는 것을 먹고 싶고, 예쁜 옷을 입고 싶고, 좋은 차를 사고 싶고, 멋있고 예쁜 이성을 원하며 뭐든지 자신이 하고 싶은 데로 하고 싶다는 마음입니다. 사랑 받고 싶고, 승리하고 싶고, 인정 받고 싶고 끝없이 바라는 것이 생깁니다. 탐욕(貪欲)은 108번뇌중에서도 3독(三毒)에 속합니다. 인간에게 있어서 탐욕(貪慾), 진에(嗔恚), 우치(愚癡) 만큼 깨달음에 장애가 되는 것도 없다는 말입니다. 이 삼독에 휘둘리면 인생은 만신창이가 됩니다. 욕망이 불타오르면 무언가를 이루려는 동기가 되기도 하고 삶의 원동력이 되기도 하지 않느냐라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꼭 그렇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5욕은 식욕(食慾), 재욕(財慾),..
2024.01.06 -
뇌의 각 부분은 서로 다른 역할을 한다.
인간은 다른 동물들과 다른 뇌의 특징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대뇌피질이 발달했다는 점입니다. 과학실의 뇌의 구조모형이나 그림에서 많이 보았을 뇌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쭈글쭈글한 부분이 대뇌피질입니다. 뇌는 좌반구와 우반구로 나눠지며, 좌우의 뇌는 다시 뇌간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대뇌피질은 다시 좌우의 뇌에서 각각 전두엽과 후두엽, 측두엽, 두정엽으로 분리되고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그러면 각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전두엽 전두엽은 앞에서 든 네 가지 부분 중에서도 가장 커다란 부분입니다. 이름 그대로 머리의 앞쪽에 위치합니다. 귀와 귀를 연결하는 선을 긋고 머리의 정수리 부분에서 수직으로 선을 그으면 중심부라 불리는 골이 있는데 이 골을 중심으로 앞쪽이 전두..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