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65)
-
불입호혈부득호자(不入虎穴不得虎子)
🐯 불입호혈부득호자(不入虎穴不得虎子)“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얻을 수 없다.”큰 목표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고사성어입니다.📚 1. 고사성어의 한자 풀이 따라서 직역하면 **“호랑이 굴에 들어가지 않으면 호랑이 새끼를 얻을 수 없다”**는 뜻이 됩니다.🧭 2. 유래와 배경 이야기📖 배경이 되는 역사이 고사성어는 중국 후한(後漢) 시대의 장수였던 **반초(班超)**의 일화에서 유래하였습니다. 반초는 중국 역사상 유명한 탐험가이자 외교관으로, 실크로드 개척과 서역 통일에 큰 공헌을 한 인물입니다.📜 실제 고사 내용당시 후한은 서역과의 교류를 넓히기 위해 여러 차례 사신을 보냈으나, 안전하지 않은 지역이 많아 실패가 반복되었..
02:09:21 -
M4 맥 미니는 인텔 CPU로 따지면 어느 정도 성능이 될까?
🍏 M4 맥 미니 vs 인텔 CPU, 성능 비교2024년 10월, 애플은 새로운 실리콘 칩 M4를 공개하며 맥 미니 라인업을 한층 더 강화했습니다.그렇다면 과연 M4 맥 미니는 인텔의 CPU들과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의 성능을 보여줄까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벤치마크 데이터를 기반으로 M4의 실제 성능을 인텔 주요 모델들과 비교해보겠습니다.🔍 M4 칩이란 무엇인가요?M4는 애플이 독자적으로 설계한 ARM 기반의 최신 Apple Silicon입니다.기본형 M4 칩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10코어 CPU: 4개의 성능 코어 + 6개의 효율 코어10코어 GPU전력 효율 중심 아키텍처 (TDP 약 20~40W 수준으로 추정)2024년 10월 출시애플에 따르면 M4는 M1 대비 1.8배 향상된 CP..
01:04:21 -
불원천리(不遠千里)
📘 불원천리(不遠千里)1. 📖 고사성어 개요한자: 不遠千里음독: 불원천리뜻풀이: '천 리 길도 멀다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먼 길도 마다하지 않고 달려간다는 의미입니다.유사 표현: 불사노고(不辭勞苦), 천리불사(千里不辭)이 성어는 누군가를 만나거나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해, 지극한 성의와 열정으로 멀고 험한 길도 서슴없이 감을 나타냅니다.2. 📚 유래 및 출전📜 출전 문헌: 『논어(論語)』子曰: “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공자께서 말씀하시길, “천리를 멀다 하지 않고 찾아온 것은, 반드시 우리나라에 도움이 될 무언가가 있어서이겠지.”공자가 노나라에 찾아온 어떤 인재에 대해 한 말로, 이 사람이 멀리서까지 찾아온 정성과 진심을 높이 평가한 표현입니다. 이 구절은 단순한 거리의 개념을 넘어,..
2025.04.08 -
불요불굴 (不撓不屈)
📘 불요불굴 (不撓不屈)🈷️ 한자 및 뜻 풀이한자 구성不 (아닐 불)撓 (휘어질 요)不 (아닐 불)屈 (굽을 굴)직역:휘지 않고, 굽히지 않는다.의미:어떠한 상황에도 마음이 흔들리거나 꺾이지 않고, 꿋꿋하게 자신의 뜻을 지켜나가는 강한 의지를 뜻합니다. 외부의 압력이나 어려움 앞에서도 결코 물러서지 않음을 표현합니다.🧠 유래 및 역사적 배경**‘불요불굴’**은 특정 인물의 고사에서 기원했다기보다는, 중국의 고전 문헌과 사서(史書) 등에서 정신적 강인함을 묘사할 때 자주 사용되던 표현입니다.특히 『후한서(後漢書)』, 『사기(史記)』 등에서 충절을 지키며 꿋꿋하게 버틴 인물들—예컨대 충신, 절개 있는 유학자, 국난 속 장수 등을 묘사할 때 반복적으로 등장했습니다.중국 뿐 아니라 조선시대 학자들도 이 말..
2025.04.08 -
불연지돌연하생(不煙之突煙何生)
📜 불연지돌연하생(不煙之突煙何生) 📖 1. 불연지돌연하생의 의미**불연지돌연하생(不煙之突煙何生)**은 **"불을 때지 않은 굴뚝에서 어찌 연기가 나겠는가"**라는 뜻으로, 원인이 없으면 결과도 없다는 의미를 지닌 한자성어입니다. 이는 어떤 일이 발생했다면 반드시 그에 상응하는 원인이 존재한다는 논리를 강조합니다. 우리 속담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나랴"**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2. 불연지돌연하생의 유래📌 1) 한자 구성과 해석不(아닐 불): 아니다, 하지 않다.煙(연기 연): 연기.之(갈 지): ~의, 주격 조사.突(굴뚝 돌): 굴뚝.煙(연기 연): 연기.何(어찌 하): 어찌, 어떻게.生(날 생): 생기다, 발생하다.이를 종합하면, **"연기가 나지 않는 굴뚝에서 어찌 연기가 생기..
2025.04.08 -
불야성 (不夜城)
📘 불야성 (不夜城)🔹 한자 의미 분석不 (아닐 불): 아니다, 부정의 뜻夜 (밤 야): 밤城 (성 성): 성, 도시즉, **"불야성"**은 "밤이 아닌 도시", 곧 밤에도 환히 빛나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사자성어 해석 불야성(不夜城)은 등불이 밤새 꺼지지 않고 켜져 있어 밤에도 대낮처럼 밝은 도시나 장소를 비유하는 말입니다. 이 표현은 주로 도시의 번화함, 불야의 거리, 활기찬 밤문화 등을 나타내는 데 쓰입니다.🌆 불야성의 유래와 전통적 배경불야성이라는 표현은 고대 중국의 도읍이나 번화한 도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나라나 당나라 시절의 수도인 장안(長安), 낙양(洛陽) 같은 도시들은 큰 시장과 관청, 문화 공간이 자리 잡고 있었으며, 야간에도 등불이 꺼지지 않을 정도로 상업과 문물이..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