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760)
-
월단(月旦)이란?
🌕 1. 월단(月旦)이란?**월단(月旦)**은 고사성어로, **사람의 됨됨이나 능력에 대한 평가, 곧 '인물 비평'**을 뜻합니다. 본래는 사람을 평가하는 특정 시기와 행위를 지칭한 말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월단평(月旦評)" 즉 인물 평론 또는 논평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月(월): 달, 음력 기준의 '초하루'旦(단): 새벽 또는 아침 — 하루의 시작을 의미‘월단’은 새 달이 시작되는 음력 초하루에 인물을 평가하던 전통에서 비롯된 표현입니다. 특히 후한 말기의 명사 **허소(許劭)**의 비평 활동에서 유래하였습니다.📖 2. 유래 및 역사적 배경‘월단’의 유래는 중국 후한(後漢) 말기, 허소(許劭)와 허잠(許靖) 형제가 매월 초하루마다 명사들의 인물 평론을 했던 데서 비롯됩니다. 이는 『후한서(後..
2025.07.05 -
원화소복(遠禍召福)
🌿 1. 원화소복(遠禍召福)이란?**원화소복(遠禍召福)**은 **"재앙은 멀리하고, 복은 불러들인다"**는 뜻으로, 화(禍)를 피하고 복(福)을 불러오는 삶의 지혜와 자세를 나타내는 고사성어입니다.遠(원): 멀리하다, 피하다禍(화): 재앙, 화난, 불운召(소): 부르다, 끌어들이다福(복): 복, 행운, 평안이 성어는 지혜로운 사람은 화를 불러오는 행동을 피하고, 복을 부르는 삶의 태도를 실천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는 인생을 잘 경영하기 위한 기본 원칙 중 하나로 받아들여집니다.📖 2. 유래 및 문헌적 배경‘원화소복’은 특정한 고사에서 유래했다기보다, 유가(儒家) 철학과 도가(道家) 사상, 병법서와 치국책에서 공통적으로 강조된 원칙입니다.특히 『서경(書經)』, 『대학(大學)』, 『손자병..
2025.07.05 -
연저지인 (吮疽之仁)
🩸 연저지인 (吮疽之仁) – 종기를 빠는 사랑, 진심인가 위선인가1. 📘 연저지인의 정의‘연저지인(吮疽之仁)’은 고사성어로, **“종기(종창)를 입으로 빨아주는 사랑”**이라는 뜻입니다.이 표현은 겉으로 보기에는 매우 극진한 사랑이나 희생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어떤 목적이나 정치적 계산이 숨어 있는 위선적인 사랑을 가리킬 때 쓰입니다. 즉, 극단적으로 희생적인 행위를 가장한 목적적 관계를 비유적으로 경고하는 표현입니다.▶ 구성吮(연): 빨다, 입으로 흡입하다疽(저): 종기, 악성 염증之(지): ~의 (소유 혹은 관형어 연결)仁(인): 사랑, 자비, 인애요약하면, “종기를 입으로 빠는 듯한 자비”, 즉 행위는 극진하지만 진의는 의심스러운 사랑입니다.2. 🧾 어원과 유래이 성어는 『한비자(韓非子)』, ..
2025.07.05 -
원천우인(怨天尤人)
🌩️ 1. 원천우인(怨天尤人)이란?**원천우인(怨天尤人)**은 문자 그대로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한다"**는 뜻입니다. 곧, 문제가 생겼을 때 자신의 책임을 돌아보지 않고, 운명이나 타인에게 그 원인을 돌리는 태도를 비판하는 고사성어입니다.怨(원): 원망하다天(천): 하늘 — 운명, 자연, 상황尤(우): 탓하다, 비난하다人(인): 사람 — 주변 타인 혹은 사회이 성어는 고대부터 자기 반성과 책임 인식의 부족을 경계하며, 성찰 없는 비난과 원망의 위험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2. 유래 및 문헌 속 용례‘원천우인’은 고대 중국의 철학서, 특히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 등 유가 사상에서 자주 언급된 개념입니다.『논어』에서는 공자가 말하길:“不怨天, 不尤人, 下..
2025.07.04 -
원입골수(怨入骨髓)
🩸 1. 원입골수(怨入骨髓)란?**원입골수(怨入骨髓)**는 문자 그대로 **“원한이 뼛속까지 스며든다”**는 뜻으로, 매우 깊고 지울 수 없는 분노와 원망의 감정을 상징하는 고사성어입니다.怨(원): 원한, 원망, 분노入(입): 들어가다, 스며들다骨(골): 뼈 — 육체의 중심이자 생명의 기반髓(수): 골수 — 뼛속 깊은 곳, 존재의 핵심이 성어는 단순한 미움이나 서운함을 넘어, 생각만 해도 분노가 되살아나고 삶의 중심까지 뒤흔들 만큼 깊이 각인된 감정을 말합니다.📖 2. 유래 및 고전적 맥락‘원입골수’라는 표현은 명확한 출처가 기록된 고사성어는 아니지만, 고대 중국 문학과 역사서에서 등장하는 유사 표현들을 통해 그 의미가 전해져 왔습니다.특히 『사기(史記)』나 『한서(漢書)』에서 **“其怨入骨”、“恨深..
2025.07.04 -
원앙지계(鴛鴦之契)
🕊️ 1. 원앙지계(鴛鴦之契)란?**원앙지계(鴛鴦之契)**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원앙 한 쌍의 맺음"**이라는 뜻으로, 금슬이 좋은 부부 사이를 상징하는 고사성어입니다.鴛(원): 수컷 원앙鴦(앙): 암컷 원앙之(지): ~의契(계): 맺음, 언약, 인연고대부터 원앙새(鴛鴦)는 수컷과 암컷이 평생 함께 다니는 새로 여겨져, 변치 않는 사랑, 부부의 의리, 영원한 인연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 문헌적 유래와 문화적 배경원앙지계라는 표현은 중국 고대 시가와 민간 설화, 예술과 문양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며, 『시경(詩經)』, 『초사(楚辭)』, 『당시(唐詩)』 등에서 원앙이 부부 금슬의 은유로 사용되어 왔습니다.특히 다음과 같은 구절은 원앙지계의 상징성을 뒷받침합니다:“원앙은 한 밤도 떨어지지..
2025.07.04 -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 1.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란?**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는 문자 그대로 **“먼 물은 가까운 불을 끌 수 없다”**는 의미로, 급박한 상황에서는 멀리 있는 도움은 쓸모가 없으며, 바로 곁에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고사성어입니다.遠(원): 멀다 — 거리상으로나 관계상 멀리 있는 존재水(수): 물 — 문제 해결의 수단, 도움不(불): 아니다, 할 수 없다救(구): 구하다, 해결하다近(근): 가깝다火(화): 불 — 위기, 문제, 급박한 상황이 성어는 실용성과 즉시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특히 위기 대응, 조직 관리, 인간관계, 외교, 정책 결정 등 여러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유래와 문헌적 배경‘원수불구근화’는 고대 중국의 병법이나 정..
2025.07.04 -
원교근공(遠交近攻)
🏯 1. 이란?**원교근공(遠交近攻)**은 문자 그대로 **“멀리 있는 나라와는 교류하고, 가까이 있는 나라를 공격한다”**는 뜻입니다.이 고사성어는 중국 전국시대 진(秦)나라의 재상 범수(范睢)가 제안한 외교 전략으로, 주로 패권 추구, 세력 확장, 실리 외교의 핵심 원칙을 설명할 때 인용됩니다.遠(원): 멀다 — 지리적 거리交(교): 사귀다, 외교 관계를 맺다近(근): 가깝다攻(공): 공격하다즉, 근처의 나라를 먼저 정복하고, 멀리 있는 나라들과는 외교적으로 우호를 맺어 안정된 후방을 확보한 뒤 점진적으로 세력을 확장하자는 전략입니다.📖 2. 유래 및 역사적 배경‘원교근공’이라는 전략은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진나라 재상 **범수(范睢)**가 제안한 것으로, 『사기(史記)』 「범수열전」..
2025.07.04 -
저나백스(Journavx)란?
저나백스(Journavx)란?저나백스(Journavx, 성분명: 수제트리진, suzetrigine, 개발 코드명: VX-548)는 미국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ertex Pharmaceuticals)가 개발한 비마약성 진통제로, 2025년 1월 30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급성 통증 치료제로 승인받았습니다. 이는 20년 만에 FDA가 승인한 새로운 기전의 비마약성 진통제로, 기존 마약성 오피오이드(opioid) 진통제의 중독성과 부작용 문제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 저나백스의 정의약물명: 저나백스(Journavx)성분명: 수제트리진(suzetrigine)개발사: 버텍스 파마슈티컬스(Vertex Pharmaceuticals, 미국)승인 현황: 2025년 1월 30일 FDA 승인(..
2025.07.04 -
오피오이드(opioid) 물질이란?
오피오이드 물질이란?오피오이드(opioid)는 통증 완화와 진정 효과를 가진 약물로, 주로 의료 목적(진통제)이나 불법적으로 사용되는 약물군을 의미합니다. 1. 오피오이드의 정의오피오이드란 뇌와 척수의 오피오이드 수용체(opioid receptor)에 결합하여 통증을 완화하고 쾌감을 유도하는 물질을 말합니다.용어 구분:오피오이드(opioid): 천연, 반합성, 합성 오피오이드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오피에이트(opiate): 아편(poppy plant)에서 직접 추출한 천연 물질(예: 모르핀, 코데인)에 한정.출처:천연: 아편 유래(모르핀, 코데인).반합성: 천연 오피에이트를 화학적으로 변형(헤로인, 옥시코돈).합성: 완전히 인공적으로 합성(펜타닐, 메타돈).2. 오피오이드의 종류오피오이드는 의료용..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