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21)
-
공성계란?
空城計 (공성계)공성계는 중국의 고대 역사와 문학에서 매우 유명한 전술적 일화로, 제갈량이 사용한 전략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삼국시대의 촉한(蜀漢) 제갈량이 조조(曹操) 휘하의 대장 사마의(司馬懿)를 속여 퇴각시킨 일화를 담고 있습니다. 이 전술은 외형상은 허세를 부리지만 실제로는 아무런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로, 상대방을 속이기 위해 겉으로는 강해 보이게 하고 실제로는 약한 모습을 취하는 전략을 뜻합니다.이 글에서는 공성계의 유래, 배경, 전략적 의미, 그리고 오늘날의 적용에 대해 깊이 살펴보겠습니다.1. 空城計의 유래제갈량의 대전략삼국지(三國志) 촉지(蜀志) 제갈량전(諸葛亮傳)에 기록된 공성계는 제갈량이 조조의 군대를 속여 퇴각시키는 전술적 일화를 다룹니다. 제갈량은 위..
2025.01.14 -
시불가실이란?
時不可失 (시불가실)시불가실은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는 의미의 고사성어로, 때를 놓치면 기회를 잃게 된다는 중요한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 표현은 주로 인생이나 사업, 정책, 또는 개인적인 목표 달성에 있어서 중요한 순간에 대한 강조로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시불가실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현대적 적용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時不可失의 유래상서(尙書) 태서(泰誓)편 시불가실의 유래는 **상서(尙書)**의 태서(泰誓)편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주나라의 제3대 왕인 **무왕(武王)**이 아버지인 문왕(文王)의 명을 받아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을 정벌하기 위해 군사를 모으고 훈시한 내용입니다.태서편의 문장태서편에서 무왕은 군사를 모으고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이 소..
2025.01.14 -
일거양득이란?
一擧兩得 (일거양득)일거양득은 한 가지 일을 함으로써 두 가지 이익을 동시에 얻는다는 의미를 지닌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현대에서도 흔히 사용되며, 효율적인 문제 해결과 동시에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상황을 묘사합니다. 이 표현의 유래와 깊은 뜻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일거양득의 유래사기(史記) 장의열전(張儀列傳)일거양득의 대표적인 고사는 중국 고전 역사서인 **사기(史記)**의 **장의열전(張儀列傳)**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전국 시대, 진(秦)나라의 혜왕은 초(楚)나라의 사신 진진(陳軫)에게 한(韓)나라와 위(魏)나라를 공격하는 문제에 대해 묻습니다. 이에 진진은 다음과 같은 이야기를 들려줍니다.변장자(卞莊子)와 두 호랑이의 고사진진은 고사로 대답을 대신하며 다음과 같은 이야..
2025.01.14 -
은감불원이란?
殷鑒不遠(은감불원)1. 의미와 해석**‘은감불원(殷鑒不遠)’**은 본보기로 삼을 만한 남의 실패나 잘못된 사례가 멀리 있지 않고 가까이에 있다는 뜻이다. 과거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경고와 조언의 의미를 담고 있다. 여기서 "鑒(감)"은 본보기나 거울을 뜻하며, "不遠(불원)"은 멀지 않다는 의미이다. 즉, 가까운 과거의 실패를 교훈 삼아야 한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다.2. 유래‘은감불원’은 고대 중국의 역사와 문헌에서 비롯된 말이다. 이 성어는 주로 **시경(詩經)**의 **대아(大雅) 탕(蕩)**에서 비롯되었으며, 하나라와 은나라(상나라)의 역사적 사례를 바탕으로 한 교훈에서 유래한다.(1) 하나라의 멸망과 걸왕의 폭정하나라는 중국의 전설적인 첫 번째 왕조로, 약 500년 이상 존속했다고 전해..
2025.01.14 -
득의양양이란?
득의양양(得意洋洋) 1. 한자 뜻과 해석得(득): 얻다, 이루다意(의): 뜻, 만족洋(양): 넘실거리다, 넘치다洋(양): 넘실거리다, 흘러넘치다**득의양양(得意洋洋)**은 "뜻을 이루어 만족하여 기쁨이 얼굴에 넘쳐 흐르는 모습"을 뜻합니다. 보통 큰 성취를 이루거나, 자신이 자랑스럽게 여길 때 느끼는 뿌듯함과 의기양양한 태도를 표현하는 말입니다.2. 유래이 고사성어는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에서 유래했습니다. 아래는 그 구체적인 이야기입니다.2.1. 이야기 배경춘추시대, 제나라의 재상이었던 안영(晏子)은 뛰어난 정치적 지혜와 덕망으로 명성을 떨쳤습니다. 그는 키가 작고 외모는 평범했지만, 지혜로 나라를 다스렸습니다. 그런 안영에게는 항상 그를 모시던 마부가 있었습니다.2.2. 사건 경과어느..
2025.01.14 -
인면수심이란?
人面獸心(인면수심)1. 한자 의미와 유래人(사람 인): 사람面(얼굴 면): 얼굴獸(짐승 수): 짐승心(마음 심): 마음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지만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인간처럼 보이지만 내면은 잔혹하거나 흉악하여 인간답지 못한 사람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입니다.2. 유래'인면수심'이라는 표현은 동한(東漢) 시대의 역사가 **반고(班固)**가 저술한 《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 문헌은 흉노족의 사회와 활동을 기록한 역사서로, 중국의 북방 유목 민족인 흉노족과의 갈등 상황을 자세히 서술하고 있습니다.기원전 133년경 한 무제(漢武帝)는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습니다. 당시 흉노족은 매년 한나라의 북방 국경을 넘어와 농촌과 마을을 약탈하며 사람들을 납치하..
2025.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