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21)
-
걸견폐요란?
傑犬吠堯(걸견폐요)1. '傑犬吠堯(걸견폐요)'의 뜻'傑犬吠堯'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걸왕(傑王)의 개가 요임금(堯)을 향해 짖는다"는 뜻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무조건적인 충성: 선악이나 옳고 그름을 따지지 않고 섬기는 사람에게 무조건적으로 충성하는 태도.맹목적인 행동: 분별 없이 상사의 명령을 따르거나, 상사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모습.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부재: 도덕적 가치나 진리를 무시한 채, 자신의 주군이나 상사에게 맹종하는 행동.2. '傑犬吠堯'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 역사서 **사기(史記)**의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에 기록된 한나라 학자 **추양(鄒陽)**의 일화에서 유래합니다.추양의 배경추양은 한나라 경제(景帝) 시기에 활동한 뛰어난 문장..
2025.01.15 -
반문농부란?
班門弄斧(반문농부)1. '班門弄斧(반문농부)'의 뜻'班門弄斧'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노반(魯班)의 문 앞에서 도끼를 놀린다"는 뜻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전문가 앞에서 자신의 얕은 재주를 뽐내는 것: 뛰어난 실력을 가진 사람 앞에서 하찮은 능력을 자랑하거나 과시하는 행동.자신의 위치를 모르는 어리석음: 자신보다 훨씬 뛰어난 사람에게 경솔하게 나서는 무모함.겸손함의 필요성: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지 않고 과대평가하는 태도를 경계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2. '班門弄斧'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 목공업의 시조라 불리는 노반(魯班)의 이름에서 유래했습니다. 노반은 고대 중국에서 뛰어난 목공 기술로 유명했던 인물로, 그의 이름은 곧 기술과 공예의 대명사로 자리 잡았습니다.노반의..
2025.01.15 -
기호난하란?
騎虎難下(기호난하)1. '騎虎難下(기호난하)'의 뜻'騎虎難下'는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호랑이를 타고 있으니 내리기가 어렵다"는 뜻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진퇴양난: 이미 시작한 일을 중도에서 포기할 수도, 계속하기도 어려운 상황.위험한 상황의 지속: 어떤 상황에 깊이 얽혀 더 이상 되돌릴 수 없고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상태.중단할 수 없는 일: 특정 행동이나 계획을 중단하면 더 큰 위험이나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2. '騎虎難下'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 역사서 **수서(隋書)**의 **독고황후전(獨孤皇后傳)**에 기록된 수나라 건국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배경: 양견과 독고씨남북조 시대, 북주의 자사(刺史)였던 **양견(楊堅)**은 대사마 독고신(獨孤信)의 딸..
2025.01.15 -
일국삼공이란?
一國三公(일국삼공)1. '一國三公(일국삼공)'의 뜻'一國三公'은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한 나라에 세 명의 공(公)이 있다"는 뜻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의견의 혼란: 여러 사람이 각기 다른 의견을 주장하여 혼란스러운 상황.지도력의 부재: 하나로 통일되지 않은 상태에서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는 상황.중구난방: 조직이나 단체 내에서 각기 다른 주장이 난무하는 모습.2. '一國三公'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 고대 역사서 **춘추좌전(春秋左傳)**의 희공(僖公) 5년조에 기록된 이야기에 등장합니다. 이 기록은 춘추시대 진(晋)나라에서 발생한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헌공과 그의 공자들진(晋)나라의 군주 헌공(獻公)은 여러 공자들 중에서 중이(重耳)와 이오(夷吾)라는 아들을 두..
2025.01.15 -
기사회생
起死回生(기사회생)1. '起死回生(기사회생)'의 뜻'起死回生'은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죽음에서 일어나 생명을 되돌린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비유적으로 사용됩니다:극적인 회복: 절망적인 상황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경우.생명을 구하다: 죽을 병이나 위기에서 벗어나 건강을 되찾는 상황.상황의 반전: 파국에 이르렀던 일이 극적으로 좋아지는 경우.현대적으로는 개인의 삶이나 조직의 어려운 상황이 크게 개선되거나 회복되는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2. '起死回生'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 역사서 **사기(史記)**의 **편작창공열전(扁鵲倉公列傳)**에서 유래했습니다. 여기에는 춘추시대의 전설적인 명의 편작(扁鵲), 즉 진월인(秦越人)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
2025.01.15 -
이란격석이란?
以卵擊石(이란격석)1. '以卵擊石(이란격석)'의 뜻'以卵擊石'은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계란으로 바위를 친다"는 뜻입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힘의 불균형: 압도적으로 강한 상대에게 도전하는 무모함.어리석은 행동: 명백히 성공 가능성이 없는 일을 시도하는 경우.손해만 초래하는 일: 이익은 없고 오히려 큰 손실을 가져오는 무익한 행위.현대적으로는 힘의 차이가 너무 커서 결과가 뻔한 도전을 묘사할 때 자주 쓰입니다.2. '以卵擊石'의 유래이 고사성어는 중국 고대 철학자 묵자(墨子)의 저서 귀의(貴義) 편에 기록된 이야기에서 유래했습니다. 묵자는 전국시대의 실용주의 철학자로, 논리적이고 실증적인 사고를 강조한 인물입니다. 그의 이야기 중 한 대목에서 '以卵擊石'이라는 표현이 등장합니..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