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네이도란? 허리케인이란? 뭐가 다를까?
2024. 12. 20. 17:30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토네이도와 허리케인의 정의와 차이점
**토네이도(Tornado)**와 **허리케인(Hurricane)**은 둘 다 대기의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자연재해이지만, 발생 조건, 규모, 지속 시간, 피해 양상 등이 서로 다릅니다. 이 두 가지 기상현상을 구분하고 간단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1. 토네이도 (Tornado)
1.1. 정의
토네이도는 지표면과 구름 사이를 연결하는 강력한 회전 기류로, 대기 불안정과 습한 공기가 충돌하면서 발생합니다. 주로 **뇌우(thunderstorm)**와 함께 형성되며, 지면에 닿는 동안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1.2. 형성 과정
- 습한 공기와 건조한 공기의 충돌: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건조한 공기와 만날 때 대기가 불안정해집니다.
- 수직 상승 기류 발생: 습한 공기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강한 수직 기류를 형성합니다.
- 회전 기류 형성: 상승 기류가 강한 바람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하다가, 지면과 접촉하면서 토네이도가 형성됩니다.
1.3. 특징
- 규모: 폭은 100m에서 최대 2~3km, 길이는 수백 m에서 수십 km.
- 속도: 바람 속도는 시속 100~500km까지 기록될 수 있으며, 이는 기상현상 중 가장 빠릅니다.
- 지속 시간: 보통 몇 초에서 수십 분으로 짧지만, 극단적인 경우 몇 시간 지속되기도 합니다.
- 피해 양상: 좁은 범위에 강력한 파괴력을 발휘하며, 건물, 차량, 나무 등을 완전히 파괴할 수 있습니다.
1.4. 등급
토네이도의 강도는 EF(Enhanced Fujita) 등급으로 측정됩니다.
- EF0: 바람 속도 105~137km/h, 가벼운 피해.
- EF5: 바람 속도 322km/h 이상, 철근 콘크리트 건물을 완전히 파괴.
1.5. 발생 지역
- 미국 중서부: "토네이도 앨리(Tornado Alley)"로 알려진 지역이 가장 흔합니다.
- 그 외 지역: 유럽, 아시아, 남미 등에서도 드물게 발생합니다.
2. 허리케인 (Hurricane)
2.1. 정의
허리케인은 따뜻한 해양에서 발생하는 거대한 열대성 저기압으로, 태풍(typhoon)과 사이클론(cyclone)과 같은 범주에 속합니다. 북대서양과 북태평양 동부에서 발생할 경우 허리케인으로 불립니다.
2.2. 형성 과정
- 따뜻한 바닷물: 수온이 26.5°C 이상일 때, 바닷물이 증발하며 습한 공기를 대기로 올려보냅니다.
- 저기압 형성: 상승한 공기가 냉각되면서 응결해 열을 방출하고, 주변 공기를 더 상승시켜 저기압을 만듭니다.
- 회전 기류: 지구 자전으로 인해 코리올리 효과가 발생, 공기가 회전하며 거대한 열대성 저기압으로 발달합니다.
2.3. 특징
- 규모: 폭은 수백 km에서 최대 1,000km 이상으로 매우 큽니다.
- 속도: 중심의 바람 속도는 시속 120km 이상이며, 강한 폭우와 함께 작용합니다.
- 지속 시간: 수일에서 몇 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
- 피해 양상: 넓은 지역에 걸쳐 폭우, 홍수, 강풍을 동반하며, 특히 해안 지역에 큰 피해를 줍니다.
2.4. 등급
허리케인의 강도는 사피어-심프슨(Saffir-Simpson) 등급으로 측정됩니다.
- 카테고리 1: 바람 속도 119~153km/h, 경미한 피해.
- 카테고리 5: 바람 속도 252km/h 이상, 극심한 피해.
2.5. 발생 지역
- 북대서양: 카리브해, 멕시코만, 미국 동부 해안.
- 태평양: 동부 및 중서부 태평양.
- 인도양: 사이클론(cyclone)으로 불리며, 동일한 원리로 발생.
3. 토네이도와 허리케인의 주요 차이점

4. 인간과 자연에 미치는 영향
4.1. 피해
- 토네이도: 좁은 지역에 집중된 극단적인 피해. 건물, 차량, 나무 등이 강력한 바람에 의해 파괴됩니다.
- 허리케인: 넓은 지역에 걸쳐 폭우와 홍수를 동반, 해안 침수 및 대규모 인명 피해를 유발합니다.
4.2. 환경적 영향
- 토네이도는 국지적인 생태계 파괴를 초래합니다.
- 허리케인은 산림과 해양 생태계를 변화시키며, 해안선 지형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
4.3. 경제적 피해
- 토네이도는 단기적이고 국소적인 피해에 집중되지만, 허리케인은 장기간에 걸친 대규모 경제적 손실을 초래합니다.
5. 예방법과 대처 방안
5.1. 토네이도
- 조기 경고 시스템: 기상 예보와 레이더 시스템으로 조기 경고를 수신합니다.
- 대피소 준비: 지하실이나 강력한 구조물 안으로 대피.
- 재난 대비 물품: 손전등, 응급 키트, 식수와 음식 준비.
5.2. 허리케인
- 사전 대피 계획: 허리케인 경로에 있는 경우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
- 방풍 대비: 창문 및 문을 강화하고, 비상 전력을 확보.
- 홍수 대비: 저지대는 피하고, 비상 물품을 준비.
토네이도와 허리케인은 모두 인간과 자연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기상현상입니다. 토네이도는 국지적이고 빠른 파괴력을 가지며, 허리케인은 넓은 지역에 걸쳐 장기간 지속됩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기상 예보를 주의 깊게 살피고, 적절한 대피 및 대비 계획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