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5. 02:34ㆍ카테고리 없음
📚 사리부재(詞俚不載) – 속된 말을 기록하지 않음
1. 사리부재(詞俚不載)의 의미와 유래
📌 (1) 사리부재의 뜻
**사리부재(詞俚不載)**는 **“가사가 속되면 기록하지 않는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입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문장이나 말이 너무 저속하거나 속되면 정식 문헌이나 기록에 싣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이 표현은 품위 없는 언어나 내용, 또는 격이 낮은 문체는 공적인 글이나 문서에 어울리지 않으므로 배제해야 한다는 고전적인 가치관을 반영합니다.
특히 고대 문학, 역사서, 경전, 공문서 등에서 내용의 품격을 유지하기 위해 저속한 표현을 철저히 배제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2) 사리부재의 한자 풀이
- 詞(사): 말, 글, 가사.
- 俚(리): 속되다, 비속하다, 저속하다.
- 不(부): ~하지 않다.
- 載(재): 싣다, 기록하다.
즉, **“속된 말이나 가사는 기록하지 않는다”**는 직역이 가능하며, 이는 고전적 품격을 중요시하는 글쓰기나 사관(史官)의 태도를 반영한 말입니다.
2. 사리부재와 관련된 표현
🔹 유사한 표현
- 文以載道(문이재도): 글은 도를 싣는 그릇이다. 즉, 글은 품격 있고 의미 있어야 함.
- 詞嚴義正(사엄의정): 말이 엄격하고 뜻이 바르다.
- 詞不逮理(사부체리): 말이 이치에 미치지 못함.
- 不堪入耳(불감입이): 귀에 담기조차 부끄러운 말.
- 潔言雅語(결언아어): 깨끗하고 고상한 말.
❌ 반대 개념
- 俚俗文章(리속문장): 저속하고 속된 문장.
- 惡言穢語(악언예어): 욕설이나 비속어.
- 文體卑俗(문체비속): 문장의 품격이 낮고 천함.
- 猥詞淫語(외사음어): 음란하고 추잡한 표현.
3. 사리부재의 유래와 고전적 배경
📜 (1) 역사 속 기록 태도
고대 중국의 역사 편찬자, 특히 『춘추(春秋)』를 기록한 **공자(孔子)**는 문장 속에서 엄정한 표현과 품격을 유지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진실을 기록하되 저속하거나 부적절한 표현은 최대한 절제하고, 간결하면서도 품위 있는 문장을 사용했습니다.
『춘추』에 “淫詞不載(음사부재)”라 하여, 음란하거나 속된 표현은 기록하지 않는다 하였으며, 이는 후대 ‘사리부재’라는 표현과 통하는 철학을 내포합니다.
📜 (2) 유교적 가치관
유교 사상에서는 말과 글이 인격의 표현이며,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도구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논어(論語)』에서도 공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辭達而已矣(사달이이의)” → 말은 뜻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일 뿐, 과장되거나 속된 표현은 지양해야 한다.
이처럼 글이나 말은 단순한 표현을 넘어, 도덕과 철학, 품격을 담는 수단이라는 인식이 강했습니다. 따라서 속되거나 품격 없는 표현은 '사리부재'의 원칙 아래 철저히 배제된 것입니다.
📜 (3) 조선 시대의 예
조선 시대의 역사서나 실록 편찬자들은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으로 사실을 기록하되, 너무 외설적이거나 속된 내용은 생략하거나 완곡한 표현으로 대체했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왕조실록』은 국왕과 관련된 민감한 사생활이나 치부에 대해 직접적 표현 대신 은유나 간접화법으로 처리한 사례가 많으며, 이는 바로 '사리부재'의 편찬 철학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4. 현대 사회에서의 사리부재 적용 사례
📰 (1) 언론과 방송 보도 기준
- 저속하거나 자극적인 표현은 기사에 사용하지 않도록 가이드라인이 존재합니다.
- 성적인 표현, 폭력적인 언어는 공영방송에서 제한되며, 이는 사리부재의 현대적 적용 사례입니다.
📚 (2) 문학과 출판의 편집 기준
- 청소년 도서나 공공 문서에서는 비속어와 욕설을 철저히 배제합니다.
- 고전 문학을 현대어로 번역할 때도 원문을 존중하면서도 저속한 표현은 완곡하게 변환합니다.
💬 (3)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의 언어 규제
- 댓글, SNS, 포럼 등에서의 욕설 및 저속 표현은 필터링되고, 경우에 따라 법적 제재를 받습니다.
- 커뮤니티의 품격을 유지하기 위해 자정 시스템 운영.
👩🏫 (4) 교육 현장에서의 언어지도
- 국어교육에서는 올바른 표현, 품위 있는 언어 사용을 강조하며, 저속한 언어나 슬랭(slang)은 지양하도록 지도합니다.
- 작문 수업에서도 문장의 품격과 문체의 고급화를 강조합니다.
5. 사리부재를 실천하는 방법
✅ (1) 표현의 품격 유지하기
- 일상 대화에서도 지나치게 속된 말보다는 예의 있고 고운 말을 사용하기.
✅ (2) 문장과 언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 글을 쓸 때 내용의 대상, 독자층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언어 선택.
✅ (3) 비판과 풍자에도 절제된 언어 사용하기
- 표현의 자유를 행사하되, 남을 모욕하거나 저속한 언어 사용은 자제.
✅ (4) 고전에서 배우기
- 공자, 맹자, 주희 등의 고전 텍스트를 통해 품격 있는 문장의 기초를 익히기.
6. 마무리
✅ 사리부재(詞俚不載)는 속되고 비속한 표현을 기록하지 않는다는 고전적 가치관을 담고 있습니다.
✅ 이는 품격 있고 절제된 표현을 통해 글이나 말의 본질적 가치를 지키고자 하는 철학적 태도입니다.
✅ 현대 사회에서도 품위 있는 언어 사용은 소통의 질을 높이며, 개인과 사회의 격을 유지하는 데 크게 기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