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관여되어 있는 알트코인들?
2024. 11. 26. 15:09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중국이 관여하거나 중국 기반 팀/기업이 주도한 주요 가상자산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중국의 기술력과 시장 크기는 블록체인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여러 프로젝트가 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는 유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네오(NEO)
- 출시 연도: 2014년
- 창립자: 다홍페이(Da Hongfei), 장한(Erik Zhang)
- 설명:
- "중국의 이더리움"으로 불리는 스마트 계약 플랫폼.
- 블록체인 기술과 디지털 자산, 신원 인증 등을 통해 스마트 경제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
- GAS 토큰을 통해 네트워크 사용 비용을 지불하며, 이중 토큰 모델을 채택.
2. 퀀텀(Qtum)
- 출시 연도: 2016년
- 창립자: 패트릭 다이(Patrick Dai)
- 설명: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의 장점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플랫폼.
- UTXO 기반 스마트 계약을 지원하며, 비즈니스용 블록체인 솔루션 제공에 중점을 둠.
- PoS(지분 증명) 합의 메커니즘 사용.
3. 비체인(VeChain)
- 출시 연도: 2015년
- 창립자: Sunny Lu (전 루이비통 IT 책임자)
- 설명:
- 공급망 관리와 제품 추적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 기업과 협력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제공.
- VET와 VTHO라는 이중 토큰 구조를 채택.
4. 트론(TRON)
- 출시 연도: 2017년
- 창립자: 저스틴 선(Justin Sun)
- 설명:
- 디지털 콘텐츠 공유 플랫폼을 구축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 DApps 및 탈중앙화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생태계를 지원.
- 2018년 BitTorrent를 인수하여 탈중앙화 파일 공유 네트워크를 확장.
5. 아이오에스티(IOST)
- 출시 연도: 2017년
- 창립자: 지미 종(Jimmy Zhong)
- 설명:
- 고속 트랜잭션 처리를 위한 스마트 계약 플랫폼.
- 독자적인 Proof of Believability(PoB) 합의 알고리즘을 채택하여 효율성을 높임.
- 주로 아시아 시장에서 활동하며 DApps 개발자를 유치.
6. 콘플럭스(Conflux)
- 출시 연도: 2018년
- 창립자: 팬롱 차오(Fan Long)
- 설명:
- 중국 최초로 규제 승인 받은 공공 블록체인.
- Tree-Graph라는 독특한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높은 확장성과 속도를 자랑.
- 중국 내 정부 및 기업과 협력 강화.
7. 바이낸스 코인(BNB)
- 출시 연도: 2017년
- 창립자: 창펑 자오(Changpeng Zhao, CZ)
- 설명:
-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바이낸스(Binance)의 유틸리티 토큰.
- 초기에는 ERC-20 기반으로 출시되었으나, 후에 자체 네트워크(BNB Chain)로 전환.
- 거래소 수수료 할인 및 BNB 생태계 확장을 위한 주요 자산.
8. 오케이엑스 체인(OKC)
- 출시 연도: 2020년
- 창립자: 스타 쉬(Star Xu)
- 설명:
- 가상자산 거래소 OKX에서 출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 DApps와 디파이 생태계를 지원하며, 고성능과 낮은 수수료를 제공.
9. 바이톤(Bytom)
- 출시 연도: 2017년
- 창립자: Duan Xinxing
- 설명:
- 디지털 자산과 물리적 자산 간의 상호작용을 목표로 하는 블록체인 프로젝트.
- 스마트 계약 및 다중 자산 관리에 중점을 둠.
10. 체인링크(Chainlink)
- 중국과의 연관성: 체인링크 자체는 글로벌 프로젝트지만, 중국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며 인프라 개발과 협업이 활발.
- 설명:
-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로, 블록체인과 외부 데이터를 연결하는 역할.
- 중국 내 여러 프로젝트와 제휴를 통해 스마트 계약 기능을 확장.
요약
위 프로젝트들은 중국이 주도하거나 중국에서 강력한 영향을 받은 가상자산입니다. 이들 프로젝트는 주로 스마트 계약, 공급망 관리, 디지털 콘텐츠, 금융 등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가상화폐 규제가 강화되면서 일부 프로젝트는 싱가포르나 다른 국가로 본사를 이전하거나 글로벌 확장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중국 기반 프로젝트에 투자할 경우, 기술력뿐만 아니라 규제 리스크와 글로벌 확장 가능성도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
- NEO
- Qtum
- VeChain (VET)
- TRON (TRX)
- IOST
- Conflux (CFX)
- Binance Coin (BNB)
- OKC (OKExChain)
- Bytom (BTM)
- Ontology (ONT)
- Waltonchain (WTC)
- Loopring (LRC)
- Fusion (FSN)
- Aelf (ELF)
- Zilliqa (ZIL)
- Nervos Network (CKB)
- High Performance Blockchain (HPB)
- DREP
- Elastos (ELA)
- Red Pulse Phoenix (PHB)
- CyberMiles (CMT)
- Matrix AI Network (MAN)
- SelfKey (KEY)
- Contentos (COS)
- Wanchain (WAN)
- Gifto (GTO)
- Celer Network (CELR)
- BTMX (Token of AscendEX)
- BitShares (BTS)
- Mithril (MITH)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