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란?

2025. 3. 23. 02:15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 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 결핵 치료의 핵심 약물

🔍 이소니아지드란?

**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는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효과적인 1차 항결핵제로, 결핵 치료 및 예방에 필수적인 약물입니다. 1952년 처음 개발된 이후 현재까지 결핵 1차 치료제 중 가장 중요한 약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소니아지드는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균의 증식을 막는 기전을 가지며, 결핵 치료의 표준 요법에 필수적으로 포함됩니다. 그러나 간독성,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소니아지드의 작용 기전

1. 🦠 결핵균의 세포벽 합성 억제

이소니아지드는 결핵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미콜산(Mycolic Acid) 합성을 억제하여 결핵균을 사멸시킵니다.

🔹 작용 기전:

  1. 이소니아지드가 결핵균 내에서 활성화됨 (결핵균 내 카탈라제-퍼옥시다제 효소(KatG)에 의해 활성화됨)
  2. 활성화된 이소니아지드가 InhA 및 KasA 효소를 억제
  3. 미콜산 합성이 차단되면서 결핵균 세포벽이 약해지고 사멸

🏥 이소니아지드의 적응증

1. ✅ 활동성 결핵(TB) 치료

  • 다른 항결핵제(리팜핀, 피라진아미드, 에탐부톨 등)와 병용하여 1차 치료제로 사용
  • 6개월 표준 치료법(2HRZE/4HR)에 포함됨
    • 초기 2개월: 이소니아지드(H) + 리팜핀(R) + 피라진아미드(Z) + 에탐부톨(E)
    • 후반 4개월: 이소니아지드(H) + 리팜핀(R)

2. 🛡 잠복 결핵(LTBI) 예방 요법

  • 활동성 결핵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 이소니아지드 단독 또는 리팜핀과 함께 사용
  • 9개월 단독(INH 300mg/day) 또는 3개월 병용(INH + RIF) 요법 적용
  • 면역저하자(HIV 감염자, 면역억제 치료자)에게 필수적인 예방 치료

3. 🔬 기타 마이코박테리아 감염 치료

  • 결핵 외에도 Mycobacterium kansasii 감염 치료에 사용 가능

⚠️ 이소니아지드의 부작용 및 주의사항

1. 🚨 간독성(hepatotoxicity)

  •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로, ALT, AST 상승 및 심한 경우 약물성 간염 유발 가능
  • 특히 고령자, 알코올 중독자, 간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 위험 증가
  • 간독성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간 기능 검사(LFT) 필요
  • 증상: 피로감, 황달, 식욕 감소, 구토 등

2. 🔥 말초 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

  • 비타민 B6(피리독신) 결핍으로 인해 손발 저림, 감각 이상 유발
  • 예방을 위해 이소니아지드 복용 시 피리독신(B6) 10~50mg을 함께 복용 추천

3. 🧠 신경정신과적 부작용

  • 불면증, 우울증, 경련, 어지러움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4. 💊 약물 상호작용

  • 리팜핀과 병용 시 간독성 증가 가능
  • 페니토인, 카바마제핀과 대사 경쟁 → 혈중 농도 상승 가능성
  • 항응고제(와파린) 대사 억제로 INR 증가 가능

🏥 이소니아지드 복용 방법 및 모니터링

1. 💊 복용 방법

  • 공복 복용 권장 (음식이 약물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
  • 하루 1회 300mg 복용 (잠복 결핵 치료 기준)
  • 활동성 결핵 치료 시 다른 항결핵제와 병용하여 사용

2. 🩺 모니터링 필요 사항


🔬 이소니아지드 내성 및 대체 치료

1. 🦠 이소니아지드 내성 결핵(INH-resistant TB)

  • 내성 결핵균 출현으로 인해 일부 환자에서 치료 실패 가능성 존재
  • 단독 내성(INH-R TB)의 경우 리팜핀 기반 치료(Rifampin-based therapy)로 대체 가능
  • 다제내성 결핵(MDR-TB) 발생 시 2차 치료제(레보플록사신, 베다퀼린 등) 필요

2. 🔄 대체 치료 옵션

  • 리팜핀 단독 요법(4개월) → LTBI 치료 대체 가능
  • 리팜핀 + 이소니아지드(3개월) 병용 요법
  • 이소니아지드 내성 시 피라진아미드, 에탐부톨 포함 치료 시행

🔮 이소니아지드 연구 및 미래 전망

1. 🏥 간독성 감소 전략 연구

  • 유전적 요소(NAT2 대사 효소)와 간독성 연관성 연구 진행
  • 간독성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약물 조합 및 치료법 개발 중

2. 🦠 새로운 항결핵제와의 병용 연구

  • 베다퀼린(Bedaquiline), 델라마니드(Delamanid)와의 병용 연구 진행
  • 기존 항결핵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

3. 💊 장기 지속형(INH LA) 이소니아지드 연구

  • 1회 주사로 장기간 효과를 유지하는 제형 개발 연구 진행 중
  • 결핵 예방 치료의 순응도를 높일 가능성 있음

🏆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의 핵심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치료와 예방에 필수적인 항결핵제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올바른 복용과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핵심 요약:

  • 결핵 치료의 1차 약물, 미콜산 합성 억제를 통해 결핵균 사멸
  • 간독성 및 신경병증 위험 존재 → 정기적인 모니터링 필수
  • 내성 결핵 증가로 인해 대체 치료법 연구 지속

이소니아지드는 결핵 퇴치를 위한 필수적인 약물이며, 적절한 관리와 함께 사용한다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