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렘린(Gremlins, 1984) 요약
2024. 11. 23. 00:04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영화 그렘린 (Gremlins, 1984) 개요
- 감독: 조 단테 (Joe Dante)
- 제작: 스티븐 스필버그 (Steven Spielberg)
- 각본: 크리스 콜럼버스 (Chris Columbus)
- 개봉일: 1984년 6월 8일 (미국 기준)
- 장르: 공포, 코미디, 판타지
- 음악: 제리 골드스미스 (Jerry Goldsmith)
- 출연:
- 잭 갈리건 (Zach Galligan) - 빌리 펠처 역
- 피비 케이츠 (Phoebe Cates) - 케이트 베링저 역
- 호이트 액스턴 (Hoyt Axton) - 랜달 펠처 역
- 폴란드 오조리 (Poland Ozuri) - 기즈모 목소리 역
영화의 주요 설정
- 모그와이:
작고 귀여운 생명체로, 주인공 빌리가 선물로 받는 **기즈모(Gizmo)**가 이 종에 속한다. 모그와이는 사랑스럽지만 세 가지 규칙을 반드시 따라야 한다:- 물에 닿으면 안 된다.
- 밥을 자정 이후에 주지 말아야 한다.
- 직접적인 햇빛이나 강한 빛에 노출되어서는 안 된다.
- 그렘린:
모그와이가 규칙을 어겨 물에 닿거나 자정 이후 음식을 먹으면 변이되어 난폭하고 위험한 그렘린으로 변한다.
영화의 줄거리
1. 기즈모의 등장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발명가 랜달 펠처는 중국의 한 골동품 가게에서 아들 빌리에게 줄 특별한 선물을 찾는다.
그곳에서 그는 작은 모그와이인 기즈모를 발견한다.
가게 주인은 모그와이를 팔지 않으려 하지만, 주인의 손자는 몰래 거래를 성사시키며 "세 가지 규칙"을 철저히 지키라고 경고한다.
2. 규칙 위반과 혼란의 시작
빌리는 기즈모를 집으로 데려와 가족과 친구들에게 소개하며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그러나 실수로 기즈모가 물에 닿으면서 모그와이 여러 마리가 추가로 태어난다.
새롭게 태어난 모그와이들은 기즈모와 달리 난폭하고 교활하며, 이들은 자정 이후 음식을 먹고 그렘린으로 변이한다.
3. 그렘린들의 폭주
그렘린들은 작은 마을인 킹스턴 폴스를 공포에 빠뜨린다. 이들은 전자기기를 망가뜨리고, 술집과 영화관을 점거하며 혼란을 일으킨다.
빌리와 그의 친구 케이트는 이들을 막기 위해 힘을 합치지만, 그렘린들은 점점 더 번성하며 도시를 위협한다.
4. 기즈모의 용기와 최후의 결전
빌리는 그렘린들이 영화관에 모여 있다는 것을 알아채고, 케이트와 함께 영화관을 폭파시켜 대부분의 그렘린들을 제거한다.
하지만 리더격인 **스트라이프(Stripe)**는 영화관 밖으로 탈출하여 마지막까지 저항한다.
기즈모는 스트라이프를 막기 위해 용기를 내어 싸우고, 빌리는 그를 제압해 마침내 마을을 구한다.
5. 교훈과 책임
영화의 마지막에서 기즈모는 원래의 주인에게 돌아간다. 주인은 인간들이 모그와이를 다룰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며, 기즈모를 안전하게 보호하겠다고 약속한다.
주요 테마와 상징
- 책임과 규칙 준수:
- 모그와이를 관리하는 세 가지 규칙은 책임감과 경계를 상징하며, 이를 지키지 않을 때 어떤 결과가 발생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 소비문화와 기술에 대한 풍자:
- 영화는 현대 사회의 기술 의존과 과잉 소비 문화를 풍자적으로 묘사한다. 특히, 발명품과 전자기기를 다루는 장면에서 이를 엿볼 수 있다.
- 공포와 유머의 조화:
- 귀엽고 사랑스러운 모그와이와 잔인하고 혼란스러운 그렘린의 대조는 영화의 긴장감과 웃음을 동시에 제공한다.
- 크리스마스 배경:
- 영화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시즌을 배경으로 하지만, 그 안에서 인간의 어두운 본성과 경솔함을 탐구한다.
영화의 유산
- 흥행 성공:
- 약 1억 5300만 달러의 글로벌 수익을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문화적 영향:
- 귀여운 기즈모와 그렘린은 80년대 팝 문화의 아이콘이 되었고, 이후에도 다양한 매체에서 패러디되었다.
- 속편 제작:
- 1990년, 그렘린 2: 새로운 번식 (Gremlins 2: The New Batch)이 개봉되었다. 속편은 전작보다 더 코믹하고 풍자적인 톤을 특징으로 한다.
- 장르 혁신:
- 공포와 코미디의 독특한 조합은 이후 여러 작품에 영향을 미치며 장르 혼합 영화의 가능성을 열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