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D란? 💻 윈도우 USB 설치 시 SSD가 표시되지 않을 때 VMD 설정을 끄는 이유

2025. 3. 7. 03:30테크IT

반응형

💻 윈도우 USB 설치 시 SSD가 표시되지 않을 때 VMD 설정을 끄는 이유

📌 문제 개요

윈도우를 USB로 설치할 때 SSD가 설치 디스크 목록에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최신 노트북이나 인텔 플랫폼을 사용하는 일부 시스템에서 이러한 문제가 자주 보고됩니다.

이 문제는 BIOS의 VMD(Volume Management Device) 설정과 관련이 있으며, VMD를 비활성화하면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 상황: USB를 이용한 윈도우 설치 중 SSD가 인식되지 않음
주요 원인: 인텔 VMD 컨트롤러 활성화로 인해 기본 NVMe 드라이버가 비활성화됨
해결 방법: BIOS에서 VMD 설정을 비활성화하여 SSD를 정상적으로 인식하도록 변경
적용 대상: 인텔 11세대 이상 플랫폼, 일부 최신 노트북 및 데스크탑


📌 VMD(Volume Management Device)란?

🔍 1. VMD의 정의

VMD(Volume Management Device)는 인텔이 개발한 스토리지 컨트롤러 기술로, PCIe 기반 NVMe SSD 및 RAID 구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주로 인텔의 최신 칩셋(11세대 코어 프로세서 이후)에서 사용되며, RAID 또는 인텔 RST(Rapid Storage Technology) 기능과 결합되어 활용됩니다.
고급 RAID 기능을 제공하며, 고성능 SSD 및 서버 환경에서 최적화된 스토리지 관리를 지원합니다.

🛠 2. VMD가 활성화된 경우의 동작 방식

VMD가 활성화되면 SSD는 일반적인 NVMe 스토리지 컨트롤러가 아니라 인텔 전용 드라이버를 필요로 하게 됨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USB 부팅 환경)에서는 기본적으로 VMD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SSD가 보이지 않음
제조사 제공 드라이버를 수동으로 로드해야 하지만, 이 과정이 번거롭고 초보자에게는 어려울 수 있음

👉 결론적으로, VMD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기본 NVMe 드라이버로 SSD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윈도우 설치 과정에서 SSD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 VMD 설정을 끄면 SSD가 인식되는 이유

🔧 1. 기본 NVMe 컨트롤러 활성화

BIOS에서 VMD를 비활성화하면 SSD가 인텔 VMD 컨트롤러가 아닌 기본 NVMe 컨트롤러를 통해 동작하게 됩니다.
윈도우 설치 USB에는 기본 NVMe 드라이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SSD가 정상적으로 인식됨
추가 드라이버 설치 없이도 바로 SSD를 포맷하고 윈도우를 설치할 수 있음

⚡ 2. 윈도우 설치 과정의 호환성 증가

VMD가 활성화되면 특정 제조사의 전용 드라이버를 요구하지만, 비활성화하면 윈도우의 기본 드라이버로 동작 가능
SSD를 별도의 설정 없이 자동 인식할 수 있어 설치 과정이 간편해짐
특히 일반 소비자용 환경에서는 VMD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끄는 것이 더 효율적

👉 즉, VMD를 끄면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에서 기본 NVMe 드라이버로 SSD를 바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BIOS에서 VMD 설정 끄는 방법

🖥 1. BIOS 진입 방법

PC 부팅 시 Del, F2, F12, ESC 등의 키를 연타하여 BIOS에 진입
노트북 제조사별로 BIOS 진입 키가 다를 수 있으므로 확인 필요

⚙ 2. VMD 설정 변경

[Advanced] 또는 [Storage Configuration] 메뉴로 이동
[VMD Controller] 또는 [Intel RST] 항목을 찾음
해당 항목을 [Disabled]로 변경
변경 사항을 저장(Save & Exit)하고 재부팅

 

제조사별 참고사항)

ASUS

  1. 컴퓨터를 켜고 BIO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Del 또는 F2 키를 누릅니다.)
  2. Advanced 메뉴로 이동합니다.
  3. System Agent (SA) Configuration을 선택합니다.
  4. VMD setup menu로 이동합니다.
  5. VMD Controller를 Disabled로 설정합니다.

MSI

  1. 컴퓨터를 켜고 BIO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Del 또는 F2 키를 누릅니다.)
  2. Settings 메뉴로 이동합니다.
  3. Advanced를 선택합니다.
  4. Integrated Peripherals로 이동합니다.
  5. VMD Controller를 Disabled로 설정합니다.

Gigabyte

  1. 컴퓨터를 켜고 BIO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Del 또는 F2 키를 누릅니다.)
  2. Peripherals 메뉴로 이동합니다.
  3. Intel VMD Technology를 찾아 Disabled로 설정합니다.

ASRock

  1. 컴퓨터를 켜고 BIO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일반적으로 Del 또는 F2 키를 누릅니다.)
  2. Advanced 메뉴로 이동합니다.
  3. Storage Configuration을 선택합니다.
  4. VMD Controller를 Disabled로 설정합니다.

🔄 3. SSD 확인 후 윈도우 설치 진행

USB로 부팅하여 설치 화면에서 SSD가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
표시되지 않는 경우, SATA/NVMe 모드를 AHCI로 변경 후 다시 확인
SSD가 인식되면 설치를 진행하고 윈도우 환경을 구성

👉 BIOS에서 VMD 설정을 비활성화하면 추가 드라이버 설치 없이 SSD를 바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 VMD를 끌 때의 주의사항

⚠ 1. RAID 환경에서는 주의 필요

VMD는 RAID 구성을 위해 필요한 기능이므로, 기존 RAID 설정이 있는 경우 변경하면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있음
RAID를 사용 중이라면 VMD를 끄기 전에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야 함

🛠 2. 일부 고급 기능 비활성화 가능성

VMD를 끄면 인텔 RST(Rapid Storage Technology) 기능이 비활성화될 수 있음
고급 전력 관리 기능이 일부 제한될 가능성이 있음
일반적인 사용자 환경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기업용 서버나 고급 사용자 환경에서는 고려해야 함

👉 VMD를 비활성화하면 SSD 인식 문제는 해결되지만, RAID 환경이 해제될 수 있으므로 설정 변경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결론

윈도우를 USB로 설치할 때 SSD가 표시되지 않는 문제는 BIOS의 VMD 설정이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IOS에서 VMD를 비활성화하면 SSD가 기본 NVMe 컨트롤러를 통해 인식되며, 윈도우 설치 프로그램에서 정상적으로 표시됩니다.

 

📌 핵심 요약

VMD는 인텔의 스토리지 관리 기능으로, 활성화 시 별도의 드라이버가 필요함
윈도우 설치 USB에는 기본 NVMe 드라이버만 포함되어 있어 SSD를 인식하지 못함
BIOS에서 VMD를 끄면 기본 NVMe 드라이버를 통해 SSD를 자동 인식 가능
RAID 설정이 있는 경우에는 VMD 비활성화 전에 데이터 백업이 필수

 

👉 이 방법을 활용하면, 별도의 드라이버 설치 없이 윈도우 설치 중 SSD 인식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

반응형

'테크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0Hz 모니터란? 누구에게 어울리나?  (0) 2025.03.07
배터리(Battery)란? 다양한 배터리들  (0) 2025.03.07
3D 프린터란?  (0) 2025.03.07
VRM(Voltage Regulator Module, 전압 레귤레이터)란?  (0) 2025.03.06
AviUtl이란?  (0)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