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난어기이(圖難於其易)
2025. 3. 6. 08:45ㆍ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도난어기이(圖難於其易) - 어려운 일을 할 때는 쉬운 것부터 시작하라
1. 도난어기이(圖難於其易)의 의미와 해석
‘도난어기이’(圖難於其易)는 **“어려운 일을 하고자 할 때는 쉬운 부분부터 차근차근 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를 가진 고사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큰 목표나 어려운 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작은 부분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말로,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이라는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1) 어휘 분석
- 도(圖, 꾀할 도): 계획하다, 생각하다, 시도하다.
- 난(難, 어려울 난): 어렵다, 난관이 많다.
- 어(於, ~에서 어): ‘~에서’라는 뜻을 가진 조사.
- 기(其, 그 기): 그것, 특정한 대상.
- 이(易, 쉬울 이): 쉽다, 간단하다.
이를 종합하면, **“어려운 일을 계획할 때는 그것의 쉬운 부분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뜻이 됩니다.
즉, 어려운 과업도 작은 부분에서부터 출발해야 비로소 완성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사자성어입니다.
2. 도난어기이의 유래와 고사(故事)
(1) 도가(道家) 사상과 노자(老子)의 가르침에서 유래
‘도난어기이’는 중국 고대 철학자인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 《도덕경(道德經)》 63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도난어기이(圖難於其易), 위대어기세(爲大於其細)”
- “어려운 일을 계획할 때는 쉬운 부분부터 하고, 큰일을 할 때는 작은 부분부터 시작해야 한다.”
① 노자의 철학과 도난어기이
- 노자는 세상의 모든 일은 작고 쉬운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 큰일을 단번에 해내려고 하면 실패하기 쉽지만, 작은 것부터 차근차근 해 나가면 결국 큰 성과를 이룰 수 있다는 사상을 강조한 것입니다.
- 이는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는 속담과도 연결되는 개념입니다.
② 도가(道家) 사상의 핵심 원칙
- 도가는 자연의 법칙(道)을 따르고, 무리하지 않으며, 순리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는 철학을 중요시함.
- ‘도난어기이’ 역시 큰일을 무리하게 한꺼번에 하려 하기보다, 자연스럽게 작은 일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2) 역사 속에서의 적용 사례
‘도난어기이’의 개념은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사건이나 전략에서 적용되었습니다.
① 진나라 시황제(秦始皇)와 중국 통일
- 진(秦)나라의 시황제(始皇帝)는 중국을 최초로 통일한 황제로 유명합니다.
- 그는 처음부터 중국 전체를 정복하려 하지 않고,
- 먼저 약한 지역을 하나씩 점령하며 세력을 키운 후, 나머지 지역을 병합하는 전략을 사용함.
- 이는 ‘도난어기이’의 원리를 군사 전략에 적용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② 조선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과정
-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할 때도 처음부터 모든 문자를 완성하려 한 것이 아니라, 작은 음운 원리부터 연구하며 점진적으로 체계를 완성해 나감.
- 한글 창제 과정은 단순한 소리에서 시작하여 점차 복잡한 음운 체계를 구축한 과정이었으며, 이는 도난어기이의 원칙과 부합합니다.
3. 도난어기이의 현대적 의미와 적용
(1) 목표 설정과 자기계발에서의 도난어기이
-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설정할 때 너무 큰 목표를 세우고 압박을 받는 경우가 많음.
- 그러나 도난어기이의 원칙을 따른다면, 목표를 세우고 이를 작은 부분부터 실천하는 것이 중요.
- 예를 들어,
- 운동을 시작하려면 하루 10분 걷기부터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
- 외국어를 배우려면 먼저 기본 단어 10개를 익히는 것부터 시작해야 함.
(2) 기업 경영과 비즈니스 전략에서의 도난어기이
- 기업이 성장하려면 처음부터 대규모 확장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시장에서 시작해 점차 확장해야 함.
- 예를 들어,
- 스타트업이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노리기보다, 지역 시장에서 성공한 후 점차 확장하는 전략이 효과적.
- 애플(Apple)도 처음에는 소규모 컴퓨터 회사로 시작했지만, 점차 아이폰과 같은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며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
(3) 문제 해결과 위기 관리에서의 도난어기이
-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때도, 문제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하나씩 해결하는 것이 효과적.
- 예를 들어,
- 대기업의 경영 위기를 해결할 때, 전체적인 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하려 하기보다 부서별로 개별적인 해결책을 먼저 시행하는 것이 효율적.
-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각국 정부가 단계적으로 방역 조치를 시행하면서 상황을 관리한 것 역시 도난어기이의 원리를 적용한 사례.
4. 도난어기이가 주는 교훈과 철학
(1) 모든 것은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 큰 목표나 어려운 과업도 작은 부분부터 시작하면 실현 가능성이 높아짐.
- 처음부터 완벽하게 하려는 생각을 버리고, 작은 성취를 쌓아가는 것이 중요.
(2) 서두르지 않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성공은 한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작은 노력이 모여 만들어지는 것.
- 노자의 철학처럼 무리하게 큰일을 시도하기보다 자연스럽게 단계를 밟아가는 것이 최선.
(3) 계획과 실행의 균형이 필요하다
- 어려운 일을 앞두고 계획만 세우고 실천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음.
- 도난어기이의 원칙에 따라 실행 가능한 작은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
5. 마무리
‘도난어기이’(圖難於其易)는 어려운 일을 할 때는 쉬운 부분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하는 고사성어로, 노자의 《도덕경》에서 유래한 표현입니다.
✔ 핵심 요약
- ‘도난어기이’는 큰일도 작은 부분부터 시작해야 성공할 수 있음을 강조하는 사자성어.
- 노자는 자연스럽게 작은 것부터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파했으며, 이는 역사적으로도 중요한 원칙으로 적용됨.
- 현대 사회에서도 목표 설정, 기업 경영,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도난어기이의 개념이 적용됨.
- 꾸준히 실천하고, 서두르지 않는 것이 성공의 비결임.
즉, ‘도난어기이’는 실천과 성취의 원칙을 제시하는 철학적 교훈으로, 현실에서도 매우 유용한 사자성어임을 보여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