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동벌이(黨同伐異)

2025. 3. 5. 02:20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黨同伐異(당동벌이) – 같은 무리는 뭉치고, 다른 무리는 배척하다


1. 당동벌이의 의미와 유래

(1) 당동벌이의 뜻

**黨同伐異(당동벌이)**는 **"서로 뜻이 같은 사람들끼리 뭉치고,
자신들과 의견이 다른 사람은 배척한다"**는 뜻으로,
파벌을 형성하여 편 가르기를 하고,
반대 의견을 용납하지 않는 태도를 의미하는 고사성어
입니다.

이 표현은 특히 정치, 사회, 조직 내에서
집단주의적 사고방식이 강하게 작용할 때 사용되며,
극단적인 파벌주의와 독선적 태도를 비판하는 의미로 활용됨
.

(2) 당동벌이와 관련된 표현

  • 당파싸움(黨派鬪爭): 자기 세력만 옳다고 주장하며 상대를 배척하는 것.
  • 패거리 정치: 정치적 이해관계를 기반으로 무리를 형성하는 것.
  • 정파적 사고(政派的思考): 객관적 사실보다 자기 진영의 입장을 우선하는 태도.
  • 문벌귀족(門閥貴族): 같은 집단 내에서만 권력을 나누는 폐쇄적인 구조.

반대 개념으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습니다.

  • 화이부동(和而不同): 서로 조화를 이루지만, 생각이 다름을 인정하는 태도.
  • 공정한 판단: 특정 집단에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가지는 것.

(3) 당동벌이의 유래와 배경

이 표현은 중국 고전 문헌에서 유래되었으며,
특히 정치와 권력 구조에서 파벌주의가 얼마나 해로운지를 강조하는 문맥에서 사용됨.

1) 『한서(漢書)』에서의 파벌 정치

중국 한나라 시대, 조정 내에서 서로 다른 세력이
권력을 놓고 다투며 파벌을 형성한 사례가 등장합니다.

"黨同則聚, 異見則伐之."
→ "같은 무리는 모이고, 다른 의견을 가진 자는 배척한다."

이는 당동벌이가 정치적 갈등과 분열을 초래하며,
궁극적으로 국정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음을 경고한 표현
입니다.

2) 『사기(史記)』에서의 권력 다툼

사마천이 저술한 『사기(史記)』에서도
당파 간의 대립이 나라의 안정을 해칠 수 있음을 지적한 대목이 있습니다.

"群黨自固, 不容異己."
→ "무리는 자기들끼리 단단히 뭉치고,
자신들과 다른 사람은 용납하지 않는다."

이는 당동벌이의 핵심 개념을 반영하는 구절로,
무리 짓기와 배척이 가져오는 폐해를 강조한 내용
입니다.


2. 당동벌이의 의미 분석

(1) 구성 해석

  • 黨(당): 무리, 집단.
  • 同(동): 같다, 같은 의견을 가짐.
  • 伐(벌): 치다, 공격하다.
  • 異(이): 다르다, 다른 의견.

즉, **"같은 집단끼리는 뭉치고,
의견이 다른 집단은 공격하여 배척한다"**는 의미입니다.


(2) 핵심 의미

  1. 같은 의견을 가진 사람끼리 뭉치고, 다른 의견을 배척하는 태도.
    • 다양한 의견을 인정하지 않고, 편 가르기를 하는 태도.
  2. 조직이나 정치에서 파벌주의와 당파 싸움을 의미.
    • 정치적 이익을 위해 당을 만들고, 상대를 배척하는 모습.
  3. 객관성을 잃고 자기 집단의 입장만을 옹호하는 사고방식.
    • 합리적인 토론이 아닌, 감정적 대립과 분열을 초래함.

3. 역사 속 당동벌이의 사례

(1) 중국 역사 속 사례

  1. 당나라 말기의 당파 싸움
    • 당나라 말기, 황실 내부와 조정에서
      서로 다른 정치 세력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대립하며
      국정이 혼란에 빠짐.
    • 이는 당동벌이로 인해 나라가 약해지는 대표적인 사례.
  2. 명나라 환관(宦官) 세력과 신하들의 대립
    • 명나라 말기, 황제를 중심으로 한 환관 세력과
      신하들이 서로 대립하며 국정을 방해.
    • 이는 자신의 세력만 보호하려는 당동벌이의 폐해를 보여줌.

(2) 한국 역사 속 사례

  1. 조선 시대 붕당 정치
    • 조선 중기 이후, 서인과 남인, 노론과 소론 등
      붕당이 형성되어 상대 세력을 공격하며 국정이 마비됨.
    • 이는 당동벌이가 정치적 분열을 초래한 대표적인 사례.
  2. 일제강점기 친일파와 독립운동가의 대립
    • 일부 친일 세력은 자신들과 뜻이 다른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며
      민족 내부의 분열을 초래.
    • 이는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도 당동벌이가 얼마나 해로운지를 보여줌.

(3) 서양 역사 속 사례

  1. 프랑스 혁명 시기의 정치적 갈등
    • 프랑스 혁명 당시,
      자코뱅파와 지롱드파가 서로 극단적인 대립을 하며
      결국 공포정치가 발생.
    • 이는 당동벌이가 어떻게 극단적인 혼란을 초래하는지를 보여줌.
  2. 미국 정치에서의 당파 싸움
    • 현대 미국 정치에서도 정당 간 극단적인 대립이 심화되며,
      정책 논의보다는 정쟁에 집중하는 모습이 나타남.
    • 이는 당동벌이가 민주주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사례.

4. 현대 사회에서의 당동벌이 적용

(1) 정치에서의 당동벌이

  • 정당 간의 극단적인 대립과 정쟁.
  • 정책보다는 상대를 공격하는 데 집중하는 정치 문화.

(2) 기업과 조직 내 당동벌이

  • 조직 내에서 파벌을 형성하고, 특정 그룹만 기회를 얻는 구조.
  • 객관적인 평가보다는 내부 인맥을 중시하는 문화.

(3) 사회와 개인 생활에서의 당동벌이

  •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진영 논리에 따라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현상.
  •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자기 생각만 옳다고 주장하는 태도.

5. 유사한 개념과 표현

(1) 동양 철학에서의 유사한 표현

  • 문벌귀족(門閥貴族): 같은 집단끼리만 권력을 나누는 폐쇄적 구조.
  • 근친상혼(近親相婚): 같은 집단 내에서만 결혼하는 폐쇄성의 비유.

(2) 서양에서의 유사한 개념

  • Tribalism (부족주의): 자기 부족(집단)만 옳다고 믿는 태도.
  • Partisan Politics (당파적 정치): 정당 간 극단적인 대립과 정치 싸움.

6. 교훈

  • 당동벌이는 자기 편만 챙기고, 다른 의견을 배척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 이러한 태도는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
  • 우리는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가져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