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다독다상량 (多聞多讀多商量)

2025. 3. 3. 17:30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다문다독다상량 (多聞多讀多商量) - 글을 잘 짓는 비결, 많이 듣고 많이 읽으며 깊이 생각하는 것

1. 의미

‘다문다독다상량(多聞多讀多商量)’은 많이 듣고, 많이 읽으며, 많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뜻의 한자 성어입니다. 이 표현은 중국 송나라의 유명한 문인 구양수(歐陽脩) 가 글을 잘 쓰는 비결로서 제시한 세 가지 요소를 강조하는 문구로, 학문과 지식 습득의 핵심 원칙을 담고 있습니다. 단순히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를 깊이 숙고하고 활용하는 과정이 중요함을 나타냅니다.


2. 유래

이 성어는 송나라 문인 구양수(歐陽脩) 가 자신의 문장론(文章論)에서 언급한 것으로, 그가 강조한 학습법의 핵심을 이루는 개념입니다.

구양수는 “많이 듣고,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는 것이 좋은 글을 쓰는 길이다” 라고 하면서, 글을 잘 쓰기 위해서는 단순한 암기와 모방이 아니라 끊임없는 학습과 사고가 필요함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는 독서와 사고의 조화를 통해 깊이 있는 사고력을 기르고, 이를 글쓰기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구양수의 사상은 동양 전통 학문에서 중요한 원칙으로 자리 잡았으며, 현대에도 학문적 탐구와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기본 원칙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3. 한자 분석

  • 多(다): 많다, 풍부함을 의미함.
  • 聞(문): 듣다, 정보를 습득하는 과정.
  • 多(다): 많다,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행위를 강조함.
  • 讀(독): 읽다, 문헌과 서적을 통해 지식을 습득함.
  • 多(다): 많다, 끊임없는 노력을 의미함.
  • 商量(상량): 깊이 생각하고 숙고함, 논의하고 토론함.

즉, “많이 듣고, 많이 읽으며, 깊이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4. 의미와 해석

‘다문다독다상량’은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숙고하는 과정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성어입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미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학습의 기본 원칙:
    • 많은 정보를 접하고(多聞), 다양한 책을 읽으며(多讀), 이를 바탕으로 깊이 사고해야(多商量) 학문의 본질을 깨달을 수 있음.
  2.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
    • 단순한 암기식 학습이 아니라, 지식의 본질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것이 중요함.
    • 많은 정보를 접하더라도, 깊이 있는 분석과 숙고가 없다면 단순한 지식의 나열에 불과함.
  3. 창의성과 논리적 사고의 발전:
    • 깊이 있는 사고와 토론 과정을 통해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음.
    • 이는 학문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됨.
  4. 문장력과 표현력 향상:
    • 좋은 글을 쓰기 위해서는 풍부한 독서 경험과 사고 과정이 필수적임.
    • 다양한 글을 접하며 논리적 구성과 표현 방식을 익히는 것이 중요함.

5. 현대적 적용

이 성어는 현대 사회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1. 교육과 학습 방법론:
    • 학생들이 단순히 시험을 위한 암기를 넘어,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유도함.
    • 독서, 토론, 문제 해결 중심의 학습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2. 비즈니스 및 의사결정 과정:
    • 기업 경영에서도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며, 전략적으로 사고하는 과정이 중요함.
    •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성공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다문다독다상량’의 원칙이 필수적임.
  3. 언론과 미디어 리터러시:
    • 현대 사회에서 가짜 뉴스와 편향된 정보가 난무하는 상황에서, 비판적 사고를 통해 올바른 정보를 선별하는 능력이 필요함.
    • 단순히 뉴스를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분석하고 깊이 사고하는 태도가 중요함.
  4. 자기계발과 인생 철학:
    • 평생 학습이 강조되는 현대 사회에서 끊임없이 배우고, 독서를 통해 사고력을 키우며, 이를 활용하여 성장하는 태도가 필요함.
    • 개인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인 학습과 사고 과정이 필수적임.

6. 관련 성어 및 격언

‘다문다독다상량’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성어 및 격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사이불학즉태(思而不學則殆)
    •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어둡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는 뜻으로, 학습과 사고의 조화가 필요함을 의미함.
  2. 문일지십(聞一知十)
    •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는 뜻으로, 깊이 있는 사고와 학습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는 능력을 강조하는 표현.
  3.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책을 백 번 읽으면 뜻이 저절로 보인다’는 뜻으로, 반복적 독서가 깊은 이해로 이어진다는 의미.
  4.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통해 새것을 안다’는 뜻으로, 지속적인 학습과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표현.

7. 마무리

‘다문다독다상량’은 단순히 정보를 많이 접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분석하고 깊이 생각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성어입니다. 이는 단순한 암기식 학습을 넘어, 논리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데 필수적인 원칙입니다.

오늘날에도 이 가르침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대 사회에서 끊임없는 학습과 사고를 통해 발전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