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마지양(犬馬之養)

2025. 2. 16. 11:13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犬馬之養(견마지양) – 부모를 봉양만 하고 공경하지 않으면 효가 아니다


1. 견마지양의 의미와 유래

(1) 견마지양의 뜻

**犬馬之養(견마지양)**은 **"개나 말처럼 단순히 부모를 봉양하는 것만으로는 효(孝)가 아니다"**라는 뜻입니다.

이는 부모를 물질적으로만 부양하는 것이 아니라, 존경과 정성을 다해야 진정한 효도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즉, 단순히 먹이고 재우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다해 공경해야만 올바른 효도라는 유교적 가르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2) 견마지양의 유래와 배경

견마지양이라는 표현은 고대 중국의 유교(儒敎) 사상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유교에서는 효(孝)를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로 강조했으며,
부모를 단순히 부양하는 것을 넘어서 진정한 공경과 존경의 마음을 가져야 함을 강조했습니다.

1) 『논어(論語)』에서 공자의 가르침

공자는 『논어』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 "요즘 사람들이 말하는 효라는 것은 부모를 봉양하는 것이라 한다.
하지만 개나 말도 주인이 먹여 기른다.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다면, 개나 말을 기르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이 말에서 **"犬馬之養(견마지양)"**이라는 표현이 유래했습니다.
즉, 단순히 부모를 봉양하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효가 아니며, 반드시 공경하는 마음이 함께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2) 『맹자(孟子)』에서의 효에 대한 강조

맹자 역시 『맹자』에서 효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강조했습니다.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
→ "효자는 부모를 모실 때, 평소에는 공경을 다하고, 봉양할 때는 기쁘게 해 드리며,
부모가 병들면 걱정을 다하고, 돌아가시면 슬퍼하며, 제사를 지낼 때는 엄숙히 한다."

이는 부모를 단순히 봉양하는 것이 아니라, 공경하는 마음과 함께해야 진정한 효도임을 강조하는 내용입니다.


2. 견마지양의 의미 분석

(1) 구성 해석

  • 犬(견): 개, 하찮은 존재를 뜻함.
  • 馬(마): 말, 가축을 뜻함.
  • 之(지): ~의.
  • 養(양): 기르다, 봉양하다.

즉, **"개나 말을 기르는 것처럼 부모를 봉양하는 것만으로는 효가 아니다"**라는 뜻으로,
효도에는 공경과 존경의 마음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2) 핵심 의미

  1. 단순히 부모를 부양하는 것만으로는 효가 아니다.
    • 경제적 지원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과 정성을 다해 부모를 공경해야 함.
  2. 부모를 대할 때 존경과 사랑의 마음이 있어야 한다.
    • 효도의 본질은 단순한 부양이 아니라, 진심 어린 공경과 배려.
  3. 유교적 가치관에서 효는 단순한 책임이 아니라 도덕적 의무이다.
    • 효도는 단순한 물질적 제공이 아니라, 부모를 진심으로 대하는 태도가 포함되어야 함.

3. 역사 속 견마지양의 사례

(1) 중국 역사 속 사례

  1. 순(舜)의 효행
    • 순(舜)은 중국 고대의 성군으로, 부모가 그를 미워하고 학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효를 다함.
    • 그는 단순한 봉양을 넘어 부모를 진심으로 섬기며 공경하는 태도를 보임.
    • 이는 견마지양을 넘어 진정한 효도를 실천한 사례로 평가됨.
  2. 공자의 효도 강조
    • 공자는 부모가 돌아가신 후에도 제사를 엄숙히 지내며, 살아계실 때처럼 공경하는 태도를 보임.
    • 이는 효란 단순한 봉양이 아니라, 부모를 영원히 공경하는 것이라는 가르침을 실천한 사례입니다.

(2) 한국 역사 속 사례

  1. 세종대왕의 부모 공경
    • 세종대왕은 태종에게 절대적으로 순종하며 효를 다하고, 왕이 된 후에도 부모를 극진히 모심.
    • 이는 물질적 봉양뿐만 아니라 존경과 공경의 마음이 함께한 사례입니다.
  2. 율곡 이이의 효행
    • 율곡 이이는 어머니 신사임당을 깊이 존경하고 따르며, 어머니의 가르침을 평생 실천함.
    • 이는 견마지양이 아닌 진정한 효도의 사례로 평가됨.

(3) 서양 역사 속 사례

  1. 미국 대통령 링컨의 효심
    • 에이브러햄 링컨은 어려운 가정 형편 속에서도 어머니를 극진히 모시며 존경을 다함.
    • 이는 단순한 봉양이 아닌, 부모를 공경하는 효의 정신을 보여줌.
  2. 로마의 키케로와 가족 사랑
    • 키케로는 부모를 존경하고 가문의 명예를 중요시하며, 부모를 정성껏 모심.
    • 이는 견마지양이 아닌, 진정한 효의 사례로 평가됨.

4. 현대 사회에서의 견마지양 적용

(1) 경제적 지원만으로는 진정한 효도가 아니다.

  • 부모님께 돈을 드리는 것보다, 함께 시간을 보내고 정성을 다하는 것이 중요함.

(2) 부모와의 관계에서 존경과 사랑이 필요하다.

  • 전화 한 통, 따뜻한 말 한마디가 경제적 지원보다 더 중요한 경우가 많음.

(3) 부모님과의 소통과 정서적 교류가 필수적이다.

  • 물질적으로만 봉양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인 교류를 통해 부모님을 위로하고 공경해야 함.

5. 유사한 속담과 표현

(1) 동양 철학에서의 유사한 표현

  • 孝悌爲本(효제위본): "효도와 공경이 모든 도리의 근본이다."
  • 養不敬, 何以異於禽獸(양불경, 하이이어금수): "부모를 봉양하면서 공경하지 않으면 짐승과 다를 바 없다."

(2) 서양 속담과 비교

  • "Honor your father and mother."
    → "부모를 공경하라." (기독교의 십계명)
  • "A parent's love is whole no matter how many times divided."
    → "부모의 사랑은 나누어져도 변함이 없다."

6. 교훈

(1) 견마지양의 교훈

  • 단순한 봉양이 아니라,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 진정한 효도이다.
  • 효도는 물질적 제공이 아니라, 정성과 사랑이 함께해야 한다.
  • 부모를 진심으로 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가치이다.

(2) 현대 사회에서 실천 방법

  1. 부모님과 대화하는 시간을 늘리기.
  2. 경제적 지원만이 아닌, 따뜻한 말 한마디와 관심을 가지기.
  3. 부모님을 존경하고 감사하는 태도를 유지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