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2. 10. 10:45ㆍ카테고리 없음
변비(Constipation): 원인, 증상, 진단
1. 개요: 변비(Constipation)란?
**변비(Constipation)**는 배변 횟수가 줄어들거나(주 3회 미만), 대변이 단단해지고 배출이 어려워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 변비의 주요 특징:
- 배변 횟수가 적고(주 3회 미만), 변이 단단하며 배출이 어려움
- 배변 시 과도한 힘을 줘야 하거나 불완전한 배변 느낌이 있음
- 장기간 지속되면 복부 팽만, 통증, 소화 장애 동반 가능
✅ 변비의 주요 원인:
- 식이섬유 및 수분 섭취 부족
- 운동 부족 및 신체 활동 저하
- 장 운동 저하(대장 근육 기능 저하)
- 약물(진통제, 항우울제, 철분제 등)
- 스트레스 및 심리적 요인
📌 변비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서 장 건강 및 전반적인 신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 변비의 분류 및 유형
변비는 원인에 따라 일차성(기능성) 변비와 이차성 변비로 나뉨.
2.1 일차성(기능성) 변비(Primary or Functional Constipation)
✅ 기능성 변비의 특징:
- 기질적 원인(장 폐색, 대장암 등)이 없음
- 생활 습관, 식습관, 장 운동 기능 저하로 발생
✅ 기능성 변비의 주요 유형:
- 이완성 변비(Atonic Constipation)
- 장 운동 저하로 인해 대변 이동 속도 감소
- 노인, 운동 부족, 장기간 침대 생활자에게 흔함
- 경련성 변비(Spastic Constipation)
- 장 운동이 과도하게 강해져 대변 이동이 불규칙해짐
- 과민성 장증후군(IBS)과 연관됨
- 배변 장애형 변비(Dyssynergic Constipation)
- 항문 근육(골반저 근육) 조절 이상으로 배변 어려움
- 변이 직장까지 도달해도 배출이 어려움
📌 기능성 변비는 생활 습관 개선과 운동으로 치료 가능성이 높다.
2.2 이차성 변비(Secondary Constipation)
✅ 이차성 변비의 특징:
- 기저 질환이나 특정 약물 복용으로 인해 발생
- 원인 치료가 필요함
✅ 이차성 변비의 주요 원인:
- 소화기 질환 관련
- 대장암, 장 폐색(장 협착)
- 항문 질환(치질, 치열)
- 신경계 질환 관련
- 파킨슨병, 척수 손상, 뇌졸중
- 내분비 및 대사 질환 관련
- 갑상선 기능 저하증(Hypothyroidism)
- 당뇨병(Diabetes)
- 고칼슘혈증(Hypercalcemia)
- 약물 관련
- 진통제(특히 마약성 진통제)
- 철분제, 칼슘제
- 항우울제, 항콜린제
📌 이차성 변비는 기저 질환을 치료하거나 원인 약물을 조절해야 개선될 수 있다.
3. 변비의 주요 증상
✅ 1) 배변 횟수 감소 → 주 3회 미만
✅ 2) 변이 단단하고 배출이 어려움 → 힘을 많이 줘야 함
✅ 3) 배변 후 잔변감 → 변이 남아 있는 느낌
✅ 4) 복부 팽만감 및 통증 → 장 내 가스 증가
✅ 5) 식욕 저하 및 소화 불량 → 장운동 저하로 인한 영향
📌 변비가 지속되면 치질, 항문열상, 장폐색 등의 합병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4. 변비의 원인 및 위험 요인
4.1 식이 및 생활 습관 관련 요인
✅ 1) 식이섬유(Fiber) 부족
- 채소, 과일, 통곡물 섭취 부족 → 장운동 저하
✅ 2) 수분 섭취 부족
- 변이 딱딱해지고 이동 속도 느려짐
✅ 3) 운동 부족
- 대장 근육 활동 감소 → 장운동 저하
✅ 4) 장시간 앉아 있는 습관
- 변의(배변 욕구) 감소 → 변비 악화
📌 식이섬유와 수분 섭취를 늘리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변비를 예방할 수 있다.
4.2 심리적 요인 및 스트레스
✅ 1) 스트레스 및 불안
- 교감신경 활성 증가 → 장 운동 감소
✅ 2) 배변 습관의 변화
- 여행, 환경 변화로 인해 변비 발생 가능
📌 스트레스 관리와 규칙적인 배변 습관이 변비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5. 변비의 진단 방법
✅ 1)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사
- 배변 패턴, 식이 습관, 복부 팽만 여부 확인
✅ 2) 대장내시경 검사(Colonoscopy)
- 대장암, 장폐색 여부 확인
✅ 3) 직장 항문 내압 검사(Anorectal Manometry)
- 항문 근육 기능 검사 → 배변 장애 감별
✅ 4) 배출 조영술(Defecography)
- 변이 직장에서 정상적으로 배출되는지 평가
📌 만성 변비가 지속되면 정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6. 변비의 치료 및 관리 방법
6.1 생활 습관 개선
✅ 1) 식이섬유 섭취 증가
- 채소, 과일, 통곡물 섭취(하루 25~30g)
✅ 2) 충분한 수분 섭취
- 하루 1.5~2L 이상의 물 섭취
✅ 3) 규칙적인 운동
- 하루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 4) 규칙적인 배변 습관 형성
- 일정한 시간에 화장실 가기
📌 생활 습관 개선은 변비 치료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6.2 약물 치료(필요 시)
✅ 1) 부피형 완하제(Bulk-forming Laxatives)
- 식이섬유 보충제(차전자피, 메틸셀룰로스)
- 장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변 부드럽게 함
✅ 2) 삼투성 완하제(Osmotic Laxatives)
- 락툴로오스(Lactulose),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 장 내 수분 증가 → 변 부드러워짐
✅ 3) 자극성 완하제(Stimulant Laxatives)
- 비사코딜(Bisacodyl), 센나(Senna)
- 장운동 촉진 → 장기간 사용 시 내성 발생 가능
📌 약물 사용은 단기적으로만 권장되며, 생활 습관 개선이 가장 중요하다.
7. 요약
🔹 변비는 배변 횟수 감소, 변의 단단함, 배변 어려움 등의 증상이 특징적이다.
🔹 주요 원인은 식이섬유 및 수분 부족, 운동 부족, 장 운동 저하, 약물 및 기저 질환이다.
🔹 치료 방법으로는 생활 습관 개선(식이, 운동, 배변 습관 조절)이 가장 중요하며, 필요 시 약물 치료가 병행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