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불급설이란?

2025. 1. 15. 13:10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駟不及舌(사불급설): 말이 네 필의 말보다 빠르다


**駟不及舌(사불급설)**은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도 혀가 내뱉은 말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한 번 뱉은 말은 돌이킬 수 없으니 말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고대 중국의 경구로, 말의 중요성과 그 파급력을 강조한 표현입니다.


1. 어원과 유래

1) 『논어(論語)』 안연(顔淵)편

『논어』 안연 편에서는 공자의 제자인 자공(子貢)과 위(衛)나라 대부(大夫) 극자성(棘子成) 간의 대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극자성은 군자에게 **"질(質, 바탕)만 있으면 충분하지, 문(文, 겉치레)은 왜 필요합니까?"**라고 물었고, 자공은 다음과 같이 대답합니다.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도 혀가 뱉은 말을 따라가지 못합니다(駟不及舌)."
문(文)과 질(質)이 균형을 이룬다는 것은 중요하며, 이를 간과하면 사람의 본성과 외적 표현 사이의 조화를 잃게 됩니다."

이 대화는 단순히 말을 경계하라는 의미뿐 아니라, 인간의 내적 본성과 외적 표현(말과 행동)의 조화가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2) 『송사(宋史)』와 구양수(歐陽修)의 필설(筆說)

송나라의 문학가 구양수(歐陽修)는 자신의 글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 마디의 말이라도 한번 입 밖으로 나가면 네 필의 말이 끄는 수레로도 쫓기 어렵다(一言旣出, 駟馬難追)."

이는 말의 파급력과 돌이킬 수 없음을 강조하며, 말 한 마디가 사람 간의 신뢰와 관계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경고하고 있습니다.


2. 駟不及舌의 구성과 의미

1) 구성

  • 駟(사): 네 필의 말.
  • 不及(불급): 미치지 못한다, 따라잡지 못한다.
  • 舌(설): 혀.

즉, 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도 혀가 내뱉은 말을 따라잡을 수 없다는 뜻으로, 말의 속도와 영향력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2) 의미

  • 말의 돌이킬 수 없음: 한번 내뱉은 말은 다시 되돌릴 수 없습니다.
  • 신중한 언행의 중요성: 말은 신뢰와 관계를 구축하거나, 파괴할 수도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책임 있는 발언: 특히 지도자나 공인의 말은 더 큰 책임을 동반해야 합니다.

3. 현대적 의미와 교훈

1) 언행의 책임

현대 사회에서는 SNS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언행의 책임이 더 중요해졌습니다. 한 번 작성하거나 말한 내용은 빠르게 퍼져나가며, 돌이킬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예: 공인의 경솔한 발언이 국제적 논란이나 법적 문제로 이어지는 사례.

2) 정치와 공약

  • 경솔한 약속: 정치인이나 공직자들이 지킬 수 없는 공약을 남발하면 신뢰를 잃고, 사회적 혼란을 초래합니다.
  • 言必信, 行必果: 한 번 내뱉은 말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는 공자의 가르침은 정치적 리더십에 여전히 중요한 교훈입니다.

3) 개인의 관계와 소통

  • 말 한 마디가 관계를 무너뜨리거나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 신중한 언행은 신뢰를 구축하고, 경솔한 말은 불화를 초래합니다.

4. 사용 사례

(1) 긍정적 사례

  • 지도자의 책임 있는 발언: 국가의 위기 상황에서 지도자가 신중하고 신뢰를 주는 발언을 통해 국민의 안정을 도모한 경우.
  • 기업의 약속: 한 기업이 고객과의 약속을 성실히 지켜 브랜드 신뢰를 얻는 사례.

(2) 부정적 사례

  • 경솔한 발언의 파문: 유명인의 부주의한 발언이 큰 사회적 논란을 일으키고, 커리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 경우.
  • 정치인의 공약 남발: 선거 기간 중 과장되거나 불가능한 약속을 했다가 결국 신뢰를 잃는 경우.

5. 비슷한 표현들

1) 중국 고전의 유사 표현

  • 一言興邦, 一言喪邦(일언흥방, 일언상방): "한 마디의 말이 나라를 흥하게도, 망하게도 할 수 있다."
  • 言必信, 行必果(언필신, 행필과): "말은 반드시 믿음이 있어야 하고, 행동은 반드시 결과를 맺어야 한다."

2) 서양 속담

  • "Think before you speak.": 말하기 전에 생각하라.
  • "Words once spoken cannot be recalled.": 한 번 말한 것은 되돌릴 수 없다.

6. 요약 및 결론

**駟不及舌(사불급설)**은 말을 신중히 해야 한다는 고사성어로, 한 번 내뱉은 말은 돌이킬 수 없다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개인 간의 소통에서부터 국가적 리더십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가르침을 제공합니다.

핵심 교훈

  1. 말을 신중히 하라. 한 마디 말이 신뢰를 쌓거나 무너뜨릴 수 있다.
  2. 행동으로 책임질 수 있는 말만 하라.
  3. 말의 속도와 파급력은 상상을 초월하니, 반드시 숙고하고 발언하라.

사불급설은 과거에서 현재까지 변함없이 적용되는 교훈으로, 우리 모두가 깊이 새겨야 할 삶의 지침입니다.

반응형